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2009.04.04 21:00

한국교회(2)

조회 수 3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교회의 초상] 한국 교회사는 한국사의 일부인가
                                                                                                                      
이찬수


한국사적 의미를 읽어낼 수 없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언젠가 한국의 그리스도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문화를 어떻게 보아왔는지, 지난 200여 년간의 역사를 공부하며 정리한 적이 있다. 요지는 가톨릭이든 개신교든, 한국 그리스도교는 한국이라는공간안에 있기는 하지만, 아직한국적인종교라고 할 수는 없다는 내용이었다.

가령 그리스도교는 가톨릭과 개신교를 합해 1,500만 이상의 신자가 있다지만, 한국의 역사를 다루는 대부분의 단행본에서 그리스도교를 한국사의 일부로 본격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 그에 비해, 가령 천도교 신자는 미미하지만, 동학(과 천도교)을 다루는 부분은 그리스도교를 다루는 부분보다 훨씬 많다. 이것은 역사학자들의 눈에 동학(과 천도교)은 한국적인 사건이자 사상인 데 비해, 그리스도교(서학)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국사학자들이 그리스도교에서 한국사적 의미를 읽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도 이들에게 그리스도교는 특정한 이들을 위한, 특정한 이들과만 연결된, 탈역사적인 현상들이라는 이미지가 더 크다는 뜻이다
.

물론 이것은 그리스도교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데서 오는 불가피한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보면 그리스도교 스스로가 자초한 일이기도 하다. 지난 200여 년간 발행된 한국 그리스도교 관련 문헌들을 두루 정리해 보면, 이 문헌들 대부분은 종파적 호교론 안에 있으며, 한국 문화는 그리스도교의 은혜를 입어야 할 연약하거나 무가치한 존재로 간주하는 경향이 컸다. 20세기 후반 들어 한국 문화에 대한 가치를 재발견하고, 한국 문화에 빚지고 살 수 밖에 없는 그리스도교의 실상에 눈뜨는 이들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한국 역사학자들이 자기우월적 그리스도교에서 한국사적 의미를 적극 도출해 낼 수 없었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


한국사적 시각이 반영되지 않은 한국 교회사

 
실제로 한국 종교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이해 또는 오해는 한국 교회사를 다룬 최초의 대작인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1874)에서부터 강력하게 드러난다. 이 책에 따르면, 조선은 오랜 역사에 비해 조상숭배, 점복, 푸닥거리 등 미신적인 행위가 활개치고 있으며, 유교와 불교라는 저급한 종교적 전통들만 지니고 있다는 식으로 묘사한다. 특별한 신앙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며, 유교든 불교든 그저 무신론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보인다. 조선 천지에는 귀신만 가득 차있다는 식이다. 물론 이 책의 저자인 달레는 한국에 한 번도 들어와 본 적이 없었으며, 그만큼 한국에 대한 편견과 오해도 크게 가지고 있었다는 한계도 뚜렷했다. 그렇다면 한국인이 쓴 한국 교회사는 어떠했을까.

한국인이 쓴 최초의 한국 교회사인 유홍렬의한국천주교회사를 보면, 거기서도 천주교 우월적 호교론과 몰민족적 태도가 한눈에 들어온다. 천주교의 전래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라면조선은 소인국이라는, 조선비하적인 태도가 빈번히 드러나고, 조선시대 천주교도에게 가해진 박해는하잘 것 없는 정권 다툼과 타인을 흠뜯는” “당파싸움 판에” “줏대 없고 얼 빠진 정치 하에서” “희생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정도로, 한국사학자의 책임에도, 한국사적인 시각은 별반 반영되어 있지 못했다. 그러면서 천주교인이 된 이들은 모두 훌륭하다는 식의 호교론적 평가가 두드러진다. 배타적이고 자기중심적 호교론의 틀 안에 갇혀있는 것이다
.


한국의 종교로서 적극적으로 해석되려면

 
이러한 흐름은 최석우 신부에 이르면 완화된다. 여기서 한국 문화와 교회사 간 극단적인 이분법은 사라져간다. 그렇지만 가만 보면 그에게서도 주체는 여전히 교회이다. 그의 연구에서도 한국 역사와 한국 교회사는 여전히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한국 교회사를 한국 역사의 일부로 다룰 줄 아는 안목은 조광 교수 등에게서 보이기 시작한다. 그는 교회사를 한국역사의 빛에서 해석하기 시작한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종교를 상대화시킬 줄도 알고, 한국 교회의 절대성과 상대성, 보편성과 특수성을 구별하는 모습도 보인다. 한국 교회사 연구를 한국 역사적 지평 안에서 보면서 해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보통의 한국사 연구자들도 그리스도교가 한국의 종교라는 인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교회사가 이러한 흐름을 타고 있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자기비평적, 한국 문화 포용적 자세는 여전히 학자들의 개인적 연구와 입장을 통해서만 드러나고 있는 듯하다. 교회 안에서 공식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종교와 문화를 포용하고 가치를 적극적으로 발견하는 일은 아직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한국 역사학자들이 한국 그리스도교를 한국사의 중요한 일부로 소화해서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할 정도의 자리에는 아직도 이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국의 종교학자의 눈에, 역사학자의 눈에 그리스도교가 한국의 종교로서 적극적으로 해석되고, 그만큼 한국의 역사가 풍요롭게 서술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고대해 본다
.

이찬수 - 서강대학교에서 종교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종교신학의 이해”, “인간은 신의 암호를 펴냈다. 지금 종교문화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

[
경향잡지, 2009 1월호


  1. 주문보 신부사건을 통해본 한중관계

    서울대교구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는 신유박해 200주년(2001년)을 앞두고 매달 절두산 순교성지에서 '신유박해 200주년 특강'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6일 일곱 번째로 열린 '주문모 신부 사건을 통해서 본 한중 관계'에 관한 여진천(원주교구 배론성지) 신부의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719
    Read More
  2. 한국 천주교회사 (7)

    103위 순교성인 낳게한 박해시대 상황 - 유학과 상반된 사학으로 배척 ◎ 박해의 배경, 신유박해 박해는 교회를 정화하고 신앙을 담금질하는 '용광로'다. 103위 한국 성인들은 모두 박해로 치명한 순교자들이다. 1784년 조선에 첫 가톨릭 신앙공동체가 탄생한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31
    Read More
  3. 한국 천주교회사 (6)

    9. 흥선 대원군과 병인 박해 (고종3년 1866년) 병인 박해란 고종3년 즉, 1866년에 벌어진 교난을 말하는 것이다. 고종8년인 1871년까지 전후 6개년간의 박해이며 공식적으로 기록된 순교자 수만도 2천여명이나 되며 비공식적으로 살육당한 신자 수까지 합하면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85
    Read More
  4. 한국 천주교회사 (5)

    8. 기해박해 (헌종5년 서기 1839년) ( 1838년부터 1840년까지 3여년에 걸친 박해 ) 1834년 재위 34년 만에 순조가 돌아가시고 불과 8세의 어린 몸으로 왕위에 오른분이 바로 헌종이다. 국왕이 나이가 어려 순조비였던 순원왕후의 수렴정치가 시작되었고, 처참...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99
    Read More
  5. 한국 천주교회사 (4)

    7. 정해교난 (순조27년 서기1827년) 정해교난이란 순조27년 음력 2월부터 5월말까지 전,후 넉달에 걸친 교회박해를 지칭하는 것인데 이 박해는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는 나오지도 않으니, 그만큼 이 박해에 대한 인식이 적고 또 알려져 있지 못한 박해이다. 1...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501
    Read More
  6. 한국 천주교회사 (3)

    6. 신유대박해 (순조1년 서기1801년 - 1802 1년) *** (초대 교회지도자들의 순교) *** 정조가 24년간의 재위끝에 세상을 떠나게 됨으로써 대통을 잇게된 분이 순조였다. 그러나, 그는 열한살의 어린나이어서 궁중에서 가장 어른은 경주 이씨 가문의 김대비가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60
    Read More
  7. 한국 천주교회사 (2)

    4. 신해박해 (정조15년 서기1791년) 한국 천주교회사는 한마디로 박해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박해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말할 수 있겠다. 첫째, 천주교가 제사를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미풍양속을 해치는 그릇된 사교인점. 둘째, 당파 싸움과 연결된 정치...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36
    Read More
  8. 한국 천주교회사 (1)

    1. 이땅에 처음 발을 디딘 신부 1593년 12월 27일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고니시 유키나가(아우구스티노) 거느린 군인들을 위해 파견된 포르투칼인 세스페데스(cespedes) 군종신부 였다. 최초로 이땅에 발을 디딘 신부이나 한국 교회를 위해 남긴것은 하나도 없...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66
    Read More
  9. 한국교회(3)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가난했던 선교사들의 삶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우리나라의 천주교 신자 대부분은 교회 창설 초기부터도 매우 가난한 상황에 처해있었다. 초기교회의 신자들은 “조선이 세계 여러 나라가운데 가장 가난하고, 신자들은 조선...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54
    Read More
  10. 한국교회(2)

    [우리 교회의 초상] 한국 교회사는 한국사의 일부인가 이찬수 한국사적 의미를 읽어낼 수 없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언젠가 한국의 그리스도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문화를 어떻게 보아왔는지, 지난 200여 년간의 역사를 공부하며 정리한 적이 있다. 요지는 가톨...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23
    Read More
  11. 한국교회(1)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박해시대의 기도문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일찍이 교부 오리게네스는 기도란 “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여 그분과 대화하고 그분을 바라보는 것”이라 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도 기도는 ‘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51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