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2009.04.04 20:58

한국교회(1)

조회 수 5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박해시대의 기도문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일찍이 교부 오리게네스는 기도란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여 그분과 대화하고 그분을 바라보는 것이라 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도 기도는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회에서는 전통적으로 이 기도를 묵상기도와 염경기도(
念經祈禱)로 나누어 구별했다. 특히 염경기도는 묵상기도와는 달리 정해진 기도문을 외우면서, 기도문에서 제시하는 내용에 따라 하느님과 대화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 교회도 창설 이래로 이러한 기도를 중요시해 왔다
.

경문과 신공 그리고 기도

신앙에 대한 박해가 진행되던 1864년 서울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성교요리문답1조목을 보면, “너는 무엇을 위하여 성교회에 나오느뇨?”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천주를 알아 공경하고 자기 영혼을 구함을 위함이니라.”였다. 이처럼 그들이 천주교에 나오는 목적은 간단명료했다. 이 선명한 목적을 실천하고자 적지 않은 신도들은 자신의 생활뿐만 아니라 목숨까지 희생하기도 했다. 삶이란 단어에는 생명과 생활이란 두 가지 의미가 있음을 감안할 때, 그들은 자신의 삶 전체를 믿음에 바쳤다.

신자들의 믿음살이를 이끌어주던성교요리문답에서는 다시 질문하기를, “천주를 공경하고 자기 영혼을 구하기를 원할진대 마땅히 무슨 본분을 다할고?”라고 했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는 이단을 끊어버리고, 잘못된 행위를 고치며, 천주교회의 규칙을 지킴과 함께교중 도리와 긴요한 경을 배워 익힐지니라.”라고 제시하였다. 이 구절에서 말하는(
)’이란 단어는 곧 기도문을 말한다
.

박해시대 우리 교회에서 사용되던 단어들의 뜻을 이해하려면 당시 선교사들이 편찬했던한불자전이나불한사전을 찾아보면 된다. 한국어 단어를 프랑스어로 제시해 놓은한불자전 1868년 초고를 완성했고, 1880년 일본 요코하마에서 간행되었다. 또한 프랑스어 단어를 한국어로 옮겨 적은불한사전은 늦어도 1869년에는 초고본이 완성되었지만, 미처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만 전해지다가 최근에 이르러 영인되었다
.

이 사전들은 19세기 중엽의 한국어를 이해하는 데뿐 아니라, 당시 신자들의 독특한 언어생활의 한 단면을 밝혀줄 수 있는 주요 자료이다. 그런데한불자전에 보면, 오늘날 우리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기도기구라는 단어는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경문’, 또는축문’, ‘신공이라는 단어가 표제어로 채록되어 있다. 물론 박해시대 프랑스인 선교사들은기도기구라는 한국어 단어를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들은불한사전의 조선어 해설문에서는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

박해시대 교회에서 사용하던 경(
)이나 경문(經文)이란 단어는 동양의 전통적 종교인 불교나 유교의 경전을 일컫던 단어였다. 그리고 교회에서 사용하던 축문(祝文)은 원래 유교적 제사에서 특별한 기원을 가리키던 말이다. 당시의 교회는 이렇게 타종교의 단어들에 그리스도교적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여 자신의 말로 사용했다. 그리고 당시 교회에서 많이 사용하던 신공(神功)이란 단어는 원래기도와 선공(善功)’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었지만, 박해시대 이래 교회에서는 주로기도라는 의미로만 사용하였다
.

박해시대 우리나라 교회에서도 기도는 일곱 성사와 함께 은총을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였다. 기도는 이처럼 박해시대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당시의 신자들도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기도에는묵상기도염경기도가 있음을 알았다
.

교회창설 초기의 자료에서묵상신공”(
黙想神功) “묵상지장”(黙想指掌)과 같은 기도서가 있음을 미루어 생각해 보면, 그때의 신자들도 묵상기도를 드렸음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신자들이 당시에 사용하던 기도서를 볼 때 그들은 여러 종류의 염경기도를 바치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


공과와 십이단의 세계

 
염경기도란 정해진 형식의 기도문을 외우거나 읽으며 드리던 기도를 말한다. 박해시대 이래 신자들은 염경기도를 흔히신공이라 했다. 그들은 여러 기도서를 가지고신공을 바쳤다.” 신공은 신자들에게 영적 훈련이요 신심의 실천이었다. 이 신공 가운데 그들의 영적 세계가 전개되고 있었다. 염경기도문이 수록된 대표적 기도서로는공과십이단이 있다.

이 가운데 공과(
功課, Orationes Communes)는 넓은 의미로 매일 기도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주일과 축일의 기도문을 비롯하여 그 밖의 여러 기도문을 수록한 기도용 책자를 말한다. 1801년의 박해 때에 정부당국에 압수된 천주교 서적의 목록에는천주성교일과수진일과등 공과와 같은 종류의 기도서들도 있다. 그러나 박해시대 초기 우리 교회에서는 기도문들이 미처 정리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

그리하여 1837년에 입국한 앵베르 주교도 신자들이 바쳐야 할 기도문을 정리하기 시작했으나 1839년의 박해 때문에 중지되었다. 이 박해 때에 앵베르 주교가 순교하자 기도서를 정리하는 작업은 최양업 신부와 다블뤼 신부 등에게 이어졌다. 이들이 정리한 기도문들은 1864년 베르뇌 주교의 감준을 받아천주성교공과”(4 4)가 목판본으로 서울에서 간행되었다. 이로써 조선 신자들은 표준 기도서를 갖게 되었다. 이때 간행되기 시작했던 공과는 1972가톨릭 기도서가 간행될 때까지 1백여 년 이상 사용되었다
.

박해시대 이래 천주교 신자들이 반드시 암송해야 할 기도문으로는십이단(
十二端)’이 있다. 십이단은 기도문 가운데 중요한 12가지 기도, 곧 성호경, 삼종경, 천주경, 성모경, 종도신경, 고죄경, 관유하심을 구하는 경, 소회죄경, 천주십계, 성교사규, 삼덕송, 봉헌경을 말한다. 이 기도문들은천주성교공과에 수록되어 있는 많은 기도문 가운데 가려 뽑은 것이다
.

열두 개의 기도문을 하나의 책으로 엮은십이단은 중국이나 서양의 교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러므로 이는 조선교회의 독자적 기준으로 선정한 기도문임에 틀림없다. 십이단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다. 아마도 1864천주성교공과간행을 전후하여 그 가운데서 신앙생활의 실천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기도문 12개를 선정하였으리라 추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기도문은 곧 신자들에게 보급되었다
.

그리하여 1866년의 박해 때에 체포된 신자들의 신문기록에서십이단을 보았다는 기록이 나타나게 된다. 원래 한자어(
)’사물의 끝이나항목’, ‘개소등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12단은 ‘12개 항목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이를 기도문에 적용시킬 경우에는 12개의 기도문이 된다. 그러기에 1868년에 초고가 완성된한불자전에 채록된 십이단이란 단어는천주경, 성모경 등 12개의 기도문이라고 간략히 설명되어 있다
.

이 기도문은 신자들이 외워야 할 주요 기도문으로 점차 강조되어 갔다. 그리하여 1887년에 간행된조선교회 지도서에서는 예비신자들이 십이단을 외워야 세례를 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기까지 했다
.

그러나 예외도 있었으니, “조선교회 지도서 “60세 이상의 노인들이 세례를 받으려면 신부의 관면을 받아진교절요를 배우면 된다.”고 규정하였다. 이 책에는요긴한 경문 6으로성호경, 천주경, 성모경, 종도신경, 천주십계와 성교사규, 소회죄경, 삼덕송 7종의 기도문이 제시되어 있었다
.


남은 말

 
박해시대 신자들은예수께서 12사도를 훈계하여 가라사대 너희 무리 마땅히 항상 구하여 항상 그치지 마라.” 하셨음을 특별히 강조했다. 그들은 기도란 천주를 향하여 말씀함이고, 그 아름다움을 찬미함이며, 그 은혜를 감사하며 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박해시대 우리나라 신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기도서는 매일의 기도에 길잡이가 된 공과였다. 또한 19세기 중엽 이후에 확정된 십이단과 같은 기도문은 신자들의 머릿속에 깊이 스며들어 그들의 신앙생활을 이끌어주고 있었다
.

그들은 십이단을 외웠고, 묵주신공과 성로신공 등의 기도를 바쳤다. 그리스도의 말씀에 따라 항상 구하고 항상 그치지 않으며 기도한 그들의 모범은 오늘날의 교회에서도 여전히 높은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

조광 이냐시오 -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로한국 천주교회사 1, 2”, “조선 후기 천주교회사 연구”, “신유박해 자료집등의 저술활동을 통하여 한국교회사 연구에 힘쓰고 있다
.

[
경향잡지, 2009 1월호]


  1. 주문보 신부사건을 통해본 한중관계

    서울대교구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는 신유박해 200주년(2001년)을 앞두고 매달 절두산 순교성지에서 '신유박해 200주년 특강'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6일 일곱 번째로 열린 '주문모 신부 사건을 통해서 본 한중 관계'에 관한 여진천(원주교구 배론성지) 신부의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719
    Read More
  2. 한국 천주교회사 (7)

    103위 순교성인 낳게한 박해시대 상황 - 유학과 상반된 사학으로 배척 ◎ 박해의 배경, 신유박해 박해는 교회를 정화하고 신앙을 담금질하는 '용광로'다. 103위 한국 성인들은 모두 박해로 치명한 순교자들이다. 1784년 조선에 첫 가톨릭 신앙공동체가 탄생한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31
    Read More
  3. 한국 천주교회사 (6)

    9. 흥선 대원군과 병인 박해 (고종3년 1866년) 병인 박해란 고종3년 즉, 1866년에 벌어진 교난을 말하는 것이다. 고종8년인 1871년까지 전후 6개년간의 박해이며 공식적으로 기록된 순교자 수만도 2천여명이나 되며 비공식적으로 살육당한 신자 수까지 합하면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85
    Read More
  4. 한국 천주교회사 (5)

    8. 기해박해 (헌종5년 서기 1839년) ( 1838년부터 1840년까지 3여년에 걸친 박해 ) 1834년 재위 34년 만에 순조가 돌아가시고 불과 8세의 어린 몸으로 왕위에 오른분이 바로 헌종이다. 국왕이 나이가 어려 순조비였던 순원왕후의 수렴정치가 시작되었고, 처참...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99
    Read More
  5. 한국 천주교회사 (4)

    7. 정해교난 (순조27년 서기1827년) 정해교난이란 순조27년 음력 2월부터 5월말까지 전,후 넉달에 걸친 교회박해를 지칭하는 것인데 이 박해는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는 나오지도 않으니, 그만큼 이 박해에 대한 인식이 적고 또 알려져 있지 못한 박해이다. 1...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501
    Read More
  6. 한국 천주교회사 (3)

    6. 신유대박해 (순조1년 서기1801년 - 1802 1년) *** (초대 교회지도자들의 순교) *** 정조가 24년간의 재위끝에 세상을 떠나게 됨으로써 대통을 잇게된 분이 순조였다. 그러나, 그는 열한살의 어린나이어서 궁중에서 가장 어른은 경주 이씨 가문의 김대비가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60
    Read More
  7. 한국 천주교회사 (2)

    4. 신해박해 (정조15년 서기1791년) 한국 천주교회사는 한마디로 박해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박해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말할 수 있겠다. 첫째, 천주교가 제사를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미풍양속을 해치는 그릇된 사교인점. 둘째, 당파 싸움과 연결된 정치...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36
    Read More
  8. 한국 천주교회사 (1)

    1. 이땅에 처음 발을 디딘 신부 1593년 12월 27일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고니시 유키나가(아우구스티노) 거느린 군인들을 위해 파견된 포르투칼인 세스페데스(cespedes) 군종신부 였다. 최초로 이땅에 발을 디딘 신부이나 한국 교회를 위해 남긴것은 하나도 없...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66
    Read More
  9. 한국교회(3)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가난했던 선교사들의 삶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우리나라의 천주교 신자 대부분은 교회 창설 초기부터도 매우 가난한 상황에 처해있었다. 초기교회의 신자들은 “조선이 세계 여러 나라가운데 가장 가난하고, 신자들은 조선...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54
    Read More
  10. 한국교회(2)

    [우리 교회의 초상] 한국 교회사는 한국사의 일부인가 이찬수 한국사적 의미를 읽어낼 수 없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언젠가 한국의 그리스도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문화를 어떻게 보아왔는지, 지난 200여 년간의 역사를 공부하며 정리한 적이 있다. 요지는 가톨...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23
    Read More
  11. 한국교회(1)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박해시대의 기도문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일찍이 교부 오리게네스는 기도란 “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여 그분과 대화하고 그분을 바라보는 것”이라 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도 기도는 ‘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51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