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인생 후반에서 다시 마주한 헤밍웨이의 마지막 울림-
느낌과 감정은 연륜에 따라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새삼 실감했다.
출간된 지 70여 년이 지난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처음
읽은 것은 40대 초반이었다.
그때는 짧고 간결한 이야기로만 느꼈던 작품이었지만,
30여 년이 지난 지금, 다시 정독한 그 이야기는
이전에는 미처 보지 못했던 깊은 울림과 오랜 여운을 남겼다.
짧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이 소설은 작가 고유의 실존 철학이
집약되어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간결하고 힘찬 문체 속에 담긴 인간의 도전과 불굴의 의지,
좌절과 나약함, 그리고 세대를 초월한 우정은
바로 헤밍웨이 문학의 정수였다.
한 줄 한 줄에 쌓인 고독과 생의 진실, 그리고 인간 존재에 대한
숙고는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야 비로소 가슴 깊이 다가왔다.
-이야기의 줄거리-
이야기의 중심은 가난하고 늙은 어부 '산티아고'다.
그는 멕시코 만류에서 조각배를 타고 홀로 고기를 잡지만,
벌써 84일째 빈손이었다.
그를 따르던 소년 마놀린도 결국 부모의 반대로 다른 배를 타게 된다.
산티아고는 홀로 먼 바다로 나가 청새치와 거의 이틀간
사투를 벌여 마침내 잡아낸다.
그러나 항구로 돌아오는 길, 상어 떼가 청새치를 뜯어 먹기 시작하고,
그는 이를 막기 위해 맨손과 작살로 고군분투한다.
끝내 항구에 도착하지만, 청새치는 뼈만 앙상하게 남은 채였다.
그가 싸운 것은 단지 물고기가 아니라, 세월과 고독,
그리고 인간 내면의 두려움이었다.
-행동하는 인간, 산티아고-
산티아고는 생각보다는 행동으로 삶을 증명하는 인물이다.
책을 읽지도 않고 야구 기사만 읽는 그는, 무려 사흘 동안
바다에서 고기와 싸우고 상어 떼와 혈투를 벌인다.
이 사투는 단순한 생계가 아닌, 삶 자체에 대한 도전이었다.
그는 온갖 고통을 감내하고도 좌절하지 않는다.
그는 장년이 아닌, 인생의 황혼기를 맞은 노인이기에그의 고투는 더 깊은 감동을 준다.
산티아고의 몸은 늙었지만, 정신은 아직 꺾이지 않았다.
나는 산티아고의 불굴의 의지와 용기에 찬사를 보냈고,
인생 후반에도 인간은 여전히 존엄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꼈다.
그는 우리 모두가 언젠가 마주할 삶의 저편을,
당당히 마주선 인물이었다.
-인간은 패배할 수 있는가?-
작품 속 백미는 이 구절이다.
“하지만 인간은 패배하도록 창조된 게 아니야.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
물질적으로는 실패한 듯 보이지만, 산티아고는
정신적으로는 전혀 꺾이지 않는다.
그가 소년에게 "내가 놈들한테 졌어."라고 말했을 때도,
마놀린은 두 번이나 "고기한테 진 게 아니에요."라고 대답한다.
비록 청새치는 앙상한 뼈만 남았지만, 그것을 잡기 위해
보여준 용기와 노력은 패배가 아닌 승리였다.
그는 싸웠고, 포기하지 않았으며, 스스로의 신념을 지켰다.
그것이 진정한 인간의 모습이 아닐까.
삶은 결국 결과보다 어떻게 싸웠는가,
그 태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그는 말하고 있다.
-예수의 형상, 그리고 고통 속의 숭고함-
산티아고가 거대한 청새치의 잔해를 매단 채 돌아오는 모습은
마치 예수가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오르는 장면과도 겹쳐진다.
그가 돛대를 어깨에 메고 언덕 위 판잣집으로 향하는 장면,
신문지에 얼굴을 묻은 채 두 팔을 벌리고 잠든 모습은 여러 비평가들이
지적한 대로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형상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고통의 상징이 아니라,
고통을 통해 도달하는 구원과 숭고함의 여정이었다.
산티아고는 고통 속에서 비로소 인간으로서의 본질에 가까워진다.
그는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싸우는 존재,
바로 그 점에서 인간은 신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노인은 사자 꿈을 꾸고 있었다.”는
말로 소설은 끝난다.
이 문장은 상처와 고난을 이겨낸 자만이 꾸는 꿈, 젊은 시절의
이상과 자유, 생에 대한 긍정이 담긴 상징적인 마무리다.
노인이 꾸는 사자의 꿈은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여전히 살아 있는 내면의 힘이었다.
-백조의 노래-
백조는 죽기 전 마지막으로 한 번 아름답게 운다고 한다.
그래서 예술가의 마지막 작품을 ‘백조의 노래’라고 부르는지도 모른다.
『노인과 바다』는 헤밍웨이가 생전에 발표한 마지막 단편으로,
그의 ‘백조의 노래’라 할 수 있다.
그는 두 번째 아내와 이혼한 후 쿠바에 정착해 20여 년을 살았고,
이 소설은 그곳 멕시코 만류를 배경으로 집필되었다.
말년의 그는 육체적으로 쇠약했지만, 정신적으로는
여전히 자신의 문학적 신념을 밀어붙였다.
그 진심이 고스란히 녹아든 작품이 바로 『노인과 바다』다.
노인이 쓴, 노인을 위한, 그러나 인간 모두에게 던지는 메시지.
그래서 이 소설은 다시 읽을 때마다 더 깊은 울림을 주는 듯하다.
노년의 산티아고는 바로 우리 자신의 미래이며, 그 고독한 항해는
우리 모두의 인생 항로이기도 하다.
-2025,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