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2017.09.21 18:06

평화의 인사

조회 수 2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례 생활] 평화의 인사

 

 

평화의 인사는 일상적인 인사와 다르다

 

오늘날 성찬례를 거행하는 중에 주님의 현존을 확인하는 ‘전례 대화’는 모두 다섯 곳으로, 그 부분이 중요한 순간임을 드러낸다. 그중 마지막 다섯 번째가 바로 영성체 직전에 ‘평화의 인사’를 나누면서 하는 전례 대화이다. 여기에는 ‘그리스도인들이 한 분이신 주님의 몸을 모시고 함께 일치한다.’는 성찬례의 핵심 신학이 담겨 있다.

 

그러나 충분한 교리 교육이 없다면, 평화의 인사가 지니는 성찬례 신학을 어느 정도라도 이해하기란 사실상 어렵다. 그뿐만 아니라 평화의 인사가, 서로 연대감이 강한 이른바 ‘친한 사이’에서 하는 일상적인 인사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 정확히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초세기 교회 전통에서부터 시작해 계속 이어지는 로마 전례의 역사 안에서 평화의 인사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변천해 왔는지를, 전례 원전에 나타나는 증언들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평화의 인사에 담긴 신학을 더욱 근원적인 방식으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1-4세기의 증언 : 그리스도인의 인사

 

1-4세기의 증언에서 드러나는 평화의 인사는 동·서방 교회가 함께 공유하는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다. 평화의 인사는 성찬례에 함께 참여하여 기도하고 성체를 통해 교회 공동체를 이루며 일치하는 그리스도인의 인사이다. 입교 성사(세례, 성체, 견진 성사)를 모두 받고 난 이후라야 평화의 인사를 나누고 성찬례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예비 신자들은 평화의 인사를 할 수 없었으며, 성찬례에도 참여할 수 없었다. 말씀 전례가 끝나면 예비 신자들을 위한 기도를 바치고 그들에게 안수한 다음에 돌려보냈다. 이러한 모습은 현행 「어른 입교 예식」(19항의 3)에 이르기까지 보존되어 왔다.

 

평화의 인사는 입맞춤으로 행했는데, 이 때문에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인사를 나누었으며, 성당 안에서 남녀는 서로 구별된 자리에 앉았다. 평화의 인사를 나누었던 시점은 보편 지향 기도(신자들의 기도)를 바친 다음으로, 봉헌 예식이 시작되기 직전이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제단에 예물을 바치기 전에 서로 화해하라.’는 주님의 권고(마태 5,23-24 참조)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주요한 가르침이었다.

 

 

5세기 뒤 : 평화의 인사가 영성체 전으로

 

4세기를 거쳐 5세기 이후로는 로마 전례의 고유한 역사가 진행되는데, 평화의 인사가 주님의 기도 이후 영성체 직전으로 옮겨졌다. 이러한 변화의 정확한 시점과 이유에 대해 명확히 언급하는 증언이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봉헌 예식이 이전보다 복잡해지고, 주님의 기도가 감사 기도 직후로 옮겨졌으며, ‘주교가 신부에게 주일 미사를 위탁한 성당’(titulus)에 ‘페르멘툼’(fermentum : 누룩)이라고 부르는 성체 조각을 가져다주는 관습이 생겨난 것이 여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4세기 말부터 페르멘툼을 받지 않고서는 신부가 미사를 거행할 수 없다는 규정이 나타났다. 8세기의 원전들은 페르멘툼이 도착한 이후라야 비로소 평화의 인사를 나누고 성체를 영했다고 한다. 만일 페르멘툼이 도착하지 않았으면 평화의 인사를 하지 않은 채 기다려야 했다고 증언한다.

 

로마 전례의 역사 안에서 일어난 ‘페르멘툼의 관습’과 ‘평화의 인사의 시점 변동’ 사이의 인과관계를 차치하더라도, 이러한 현상은 그 자체로 전례 사목적 차원에서 페르멘툼과 평화의 인사를 내적으로 강하게 연결한다.

 

5세기의 인노첸시오 1세 교황(401-417년 재위)의 증언에 따르면, 페르멘툼은 같은 성체를 통해 주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회 공동체들 사이의 일치를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페르멘툼을 신부가 축성한 성혈에 넣은 직후에 하는 평화의 인사는 단지 그리스도인이 성체를 통해 일치한다는 의미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다. 주교를 중심으로 한 교회 공동체들 간의 일치까지 내포한다.

 

 

전례를 통한 천상 · 지상 공동체의 일치

 

평화의 인사가 성체를 통한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드러내고 확인하는 인사인 한, 이 인사의 의미는 지상 전례 공동체와 천상 전례 공동체의 일치까지 확장된다. 지상 전례 공동체에 머물면서 성체 안에서 일치하던 그리스도인은 지상의 삶을 마칠 때 천상 전례 공동체로 건너가며, 천상 전례 공동체 또한 오직 한 분이신 ‘하느님의 어린양’을 중심으로 일치하면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천상 전례를 거행하기 때문이다.

 

이는 바로 전례 헌장 8항이 제시하는 ‘지상 전례와 천상 전례의 합일’이다. 지상 전례의 중심과 천상 전례의 중심이 한 분이신 주님의 몸을 통해 하나로 꿰이는 것이다. 지금 지상에서 성찬례에 참여하여 성체를 바라보고 모시는 사람은 바로 그 순간 천사와 성인들과 함께 천상 전례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그리스도인이 지상의 삶을 마감하고 천상 공동체로 건너가는 사건을 기념하는 장례 미사야말로 평화의 인사가 지니는 이러한 성찬례 신학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순간이다.

 

 

장례 미사와 평화의 인사

 

장례 미사의 경우에는 고대의 관습을 함부로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고대의 전통에서는 평화의 인사를 영성체 직전이 아니라 봉헌 예식 전에 나누었는데, 5세기 이후에도 위령 미사에서만큼은 이 관습이 그대로 보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5세기에 로마의 성찬례에서 평화의 인사가 영성체 직전으로 옮겨질 때에, 위령 미사 예식에서는 그러한 시점의 이동이 없이 그대로 고수되었다. 그러나 후대에 봉헌 예식 전에 더 이상 평화의 인사를 하지 않는 로마의 관습에 보조를 맞추어 위령 미사의 봉헌 예식 직전의 평화의 인사마저도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이미 11세기의 문헌에서 위령 미사에서의 평화의 인사를 생략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그 이후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직전까지 이러한 관습은 유지되었는데, 1970년에 새로운 「로마 미사 경본」이 출판되면서 폐지되었다.

 

 

“적절하다면”의 의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개정된 「로마 미사 경본」에서는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것에 대하여 “적절하다면”(pro opportunitate)이라는 단서를 붙여 놓았다. 이는 어떤 상황이 정서상 평화의 인사를 나누기에 알맞지 않기 때문이 아니다. 평화의 인사가 성찬례 신학에서 지니는 의미와 가치가 깊고도 크며, 이 인사를 잘못 이해하고 행할 경우 오히려 성찬례에 대한 합당한 참여에 해를 끼치기에 그러한 위험을 막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조치를 계속 반복하기만 할 게 아니라 합당한 교리 교육을 실시하고, 필요하다면 혼란과 혼동을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인사 방식을 개선하기까지 하는 긍정적인 대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1996년에 발행된 우리말 「미사 통상문」 129항의 예규에는 “적절하다면”이라는 표현이 빠진 대신에 평화의 인사를 장례 미사에서 생략할 수 있다는 문장이 추가되었다. “이어서 부제나 사제는 교우들에게 서로 평화와 사랑의 인사를 하도록 권한다. 장례 미사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그 어떤 미사도 미사인 이상 그 자체로 평화의 인사를 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되지 않는다. 다만, 신자들이 평화의 인사를 오해하여 장례 미사에서 서로 애도를 표하는 인사로 알고 행한다면, 바로 이 경우가 평화의 인사를 생략해야 할 상황이며 이유이다. 또한 장례 미사에 비신자들이 많이 참석했을 경우에도 평화의 인사를 생략해야 하는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부활 성야 미사, 성탄 밤 미사, 혼인 미사 등에서 평화의 인사를 하는 순간에 서로 축하의 인사를 나눈다면, 이것도 마찬가지로 부적절한 것이라 차라리 생략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그러나 더 바람직한 것은, 교리 교육을 통해 신자들이 평화의 인사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고 행하게 함으로써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처럼 평화의 인사를 합당하게 행해야 하는 것은 단지 장례 미사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 출판되어 곧 사용할 우리말 「로마 미사 경본」에는 라틴어 원문에 충실하게, “장례 미사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는 문구를 삭제하고 “적절하다면”이라는 표현을 다시 살려 놓았다.

 

* 신호철 비오 - 부산교구 신부.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전례학 교수 겸 교목처장,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총무를 맡고 있다.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에서 전례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향잡지, 2017년 9월호, 신호철 비오]


  1. '본당(本堂)', '성당(聖堂)'의 차이

  2. [사순부활] 재의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사순 시기, 전례 의미를 알아보자

  3. [전례] 거룩한 침묵

  4. [전례] 신학 산책22: 대축일, 축일, 기념일이 뭔가요?

  5. [미사] 영성체 예식

  6. [대림성탄] 신경에서 드러나는 성탄의 의미

  7. [전례]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Et cum spiritu tuo)

  8. 대림 시기에 만나는 인물들: 이사야 · 요한 세례자 · 마리아 file

  9. [전례] 장례미사를 못 하는 날도 있나요?

  10. [전례] 새 로마 미사 경본(한국어판) 살펴보기

  11. 성수는 마셔도 되나요?

  12. 평화의 인사

  13. 하느님 말씀에 응답하는 교회 공동체

  14. TV 미사 참례, 수많은 의문과 몇 가지 제안

  15. 미사의 동작들에 숨어있는 의미

  16. 빵 나눔 예식

  17. 공복재는 무엇인가요?

  18. 미사보를 쓰지 않으면 영성체를 못하나요?

  19. 미사 중에 왜 자주 일어났다 앉았다 하나요?

  20. 미사 전례에 관한 궁금증 몇 가지

  21. 대부(代父), 대모(代母)는 무엇하는 사람인가요?

  22. [미사] 교중미사의 중요성에 대해

  23. 성찬 전례 때 복사가 종을 치는 것의 의미와 유래, 복사의 유래와 의미

  24. 예수 부활 대축일 file

  25. 부활성야 file

  26. 주님 수난 성 금요일 file

  27. 주님 만찬 성 목요일 file

  28. 2017년 주님 수난 성지주일 file

  29. 파스카 성삼일

  30. 모든 영예와 영광이 하느님 아버지께(마침 영광송)

  31. 성전에서 지켜야 할 예절

  32. 성당에 들어설 때 지켜야 할 예절

  33. 구원의 보증인 성사(聖事)

  34. 성체의 소중함을 보여준 사제

  35. 사순 시기의 의미와 전례

  36. 첫영성체는 몇 살부터? 신자들도 성혈과 성체를 함께 모실 수 있나?

  37. 미사 때 ‘제병과 포도주’ 대신 ‘떡과 막걸리’를 쓸 수 있나요?

  38. 주님, (아무)를 생각하소서!(전구)

  39. 네 형제를 어떻게 하였느냐?

  40. 엠마오의 두 제자와 성찬례, “받아먹어라.”

  41. 따분한 전례? 따분한 내 인생?

  42. 자신의 몸과 피를 봉헌하신 그리스도

  43. 일요일(日曜日)? 주일(主日)?

  44. 성모상 앞에서 절하면 우상 숭배인가요?

  45. 제대, 그리스도 상징하는 성당의 중심

  46. 미사는 신부님만 정성껏 드리면 되는 것 아닌가요?

  47. 제물 봉헌

  48. 영성체 후 묵상 file

  49. 하느님의 어린양 file

  50. 주님의 기도 file

  51. 거룩하시도다 file

  52. 알렐루야 file

  53. 대영광송 file

  54. 자비송 file

  55. 국악 율동 미사 -소고춤 file

  56. 미사 전례를 풍성하게 하는 성가대

  57. 미사보(미사수건)

  58. 기념(아남네시스)

  59. 있는 듯 없는 듯한 해설자

  60. 기념 환호

  61. 한가위 추석 명절 미사

  62. 하느님의 입이 되어야 하는 독서자

  63. 성찬 제정과 축성(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64. 전례부 교육 file

  65. 감실은 왜 존재하나요?

  66. 기본적인 의무인 주일미사를 지키지 못한 경우

  67. 예수 부활 대축일 file

  68. 부활성야 2 file

  69. 부활성야 file

  70. 주님 수난 성 금요일 file

  71. 주님 만찬 성 목요일 file

  72. 2016년 주님 수난 성지 주일 file

  73. 재의 수요일 file

  74. 사순시기 전례와 신앙생활 file

  75. 캔들마스를 아시나요?(주님 봉헌 축일)

  76. 주님 봉헌 축일 file

  77. 개신교, 무엇이 다른가요?

  78. 매주 참례하는 미사, 얼마나 알고 계세요?

  79.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1월 1일)

  80. 성탄의 기원과 의미

  81. 판공성사 이야기

  82. 대림시기 의미와 전례

  83. 감사기도의 시작 대화

  84. 입당 행렬과 입당 성가

  85. 미사 독서의 실제 지침과 방법

  86. 묵주기도(로사리오) 성월을 맞아

  87. 감사 기도

  88. 제단의 봉사자 - 복사

  89. 미사와 신자생활

  90. 손 영성체와 입 영성체

  91. 신앙 고백

  92. 예물 준비 예식의 동작과 기도들

  93. 넉넉한 축복에 감사드림, 한가위 추석 명절 미사

  94. 영성체 예식, 주님의 기도

  95. 알렐루야

  96. 대영광송

  97. 마침 예식

  98. 예물 준비

  99. 제대 준비와 장식

  100. 제대와 감실의 관계

  101. 제대 위의 십자고상과 초

  102. 제의에 사용하는 여러 색깔의 의미

  103. 빵과 포도주 - 성찬례의 재료

  104. 신자들의 예물봉헌

  105. 빵과 포도주를 들고 바치는 기도

  106. 하루 영성체 횟수

  107. 예물 행렬과 성가

  108. 미사 때 향과 촛불의 의미

  109. [성인복사단]성지 순례 file

  110. 2013년 영세식 file

  111. 미사 중에 지켜야 할 예절

  112. 전례상식 - 주일에 임하는 자세

  113. 전례상식 - 주일의 의미

  114. [어린이 복사단] 입단식 file

  115. 부활절 영세식 사진 file

  116. 부활 성야 및 영세식 file

  117. 2009년 첫 영성체 file

  118. 성 주간의 전례

  119. 사순시기 단식

  120. * 미사 참례 시 유의 사항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