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 자유게시판 ]
조회 수 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인과 바다후기

느낌과 감정은 자신의 연륜에 떠라 확연히 다름을 새삼스레 체험했다. 출간된 지 70여 년이 지난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처음 접했던 것은 40대 초반이었다. 그리고 30여 년이 훌쩍 지난 후 다시 정독(精讀)했다. 젊은 시절 맛보지 못했던 '노인과 바다' 이야기는 큰 울림과 긴 여운(餘韻)을 남겼다. 군더더기 없이 짧은 분량이지만 작가 고유의 실존 철학이 집약되어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간결하고 힘찬 문체로 한 인간의 도전과 불굴의 의지, 좌절과 나약함, 세대를 뛰어넘는 우정을 묘사하는 헤밍웨이 문학의 결정판이라는 큰 울림이 그것이었다. 이야기를 집약한다면, 주인공 '산티아고'는 멕시코 만류(灣流)에서 조각배를 타고 홀로 고기잡이하는 가난하고 늙은 어부였다. 그는 벌써 84일째 고기를 잡지 못했다. 그를 따르던 소년 '마늘린'도 부모의 만류로 다른 배를 타게 되었다. 산티아고는 혼자 먼 바다로 나가고, 크고 힘센 청새치 한 마리를 잡으려 거의 이틀을 배 위에서 고투했다. 마침내 청새치를 작살로 찔러 잡아 뱃전에 매어 돌아가던 중 이번에는 상어 떼의 공격을 받는다. 노인은 그놈들과 혈투를 벌인 끝에 항구까지 끌고 오는 데 성공하지만, 거대한 청새치는 뼈만 앙상하게 남았다는 이야기다.

 

망망대해에서 청새치와 사투를 벌리던 둘째 날, 산티아고는 아무 생각도 하지 않고 오직 참고 견디려고 할 뿐이었다.”라고 말한다. 그날 그는 청새치가 수면 위로 뛰어 오르고 난 뒤 허지만 난 녀석에게 인간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또 얼마나 참고 견뎌 낼 수 있는지 보여 줘야겠어.”라고 혼자 말을 한다. 이 말을 달리 바꾸면 그는 인내하기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났을 뿐 생각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는 말이 된다. 이렇듯 무엇인가를 깊이 있게 생각하는 일은 산티아고 에게는 날 설다. “고기가 고기로 태어난 것처럼 넌 어부로 태어났으니까.”라고 말하기도 한다. 햄릿처럼 생각하는 인간보다는 돈키호테처럼 행동하는 인간에 가까운 산티아고는 깊이 있은 사색을 하지 않을뿐더러 책을 읽지도 않고 오직 야구 기사만을 읽는다. 그런 산티아고는 폭력과 죽음을 그렇게 무서워하지 않는다. 그는 혼자서 멀리 거친 바다를 나가 고기잡이를 한다는 것부터 보통사람으로서는 하기 어려운 생각이다. 밤낮으로 꼬박 사흘 동안 그는 청새치와 사투를 벌이는가 하면, 청새치를 뜯어 먹으려고 공격해 오는 상어 떼를 물리친다. 그야말로 죽음을 무릅쓰지 않고서는 좀처럼 할 수 없는 일이다. 헤밍웨이는노인과 바다에서 노령(老齡)에 저항하는 모습을 예술적으로 승화(昇華)시켰다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산티아고는 온갖 시련을 겪지만 좌절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운명에 맞서 도전하는 인간의 용기와 의지를 보여준다. 처음에는 청새치와 그리고 나중에는 상어 떼와 사투를 벌인다. 헤밍웨이 작품의 주인공 가운데 그만큼 온갖 시련과 역경을 위엄 있게 극복하는 인물도 없는 것 같다. 그는 장년이 아니라 인생의 황혼기를 맞이한 노인이기에 그의 이러한 노력은 더욱 값지다는 생각에 나는 산티아고에게 찬사를 보내고 불굴의 투지에 감탄했다. 산티아고의 정신적 승리는 물질적 승리 못지않게 아니, 어쩌면 그보다도 더 소중할 것이다. 산티아고는 자신의 어선보다도 더 큰 청새치를 잡지만 결국에는 상어 떼에게 모두 빼앗기고 만다. 그가 청새치를 지키기 위해 사투를 벌리며 죽인 상어만도 무려 다섯 마리나 된다. 항구로 무사히 돌아왔을 때 청새치는 상어 떼에게 뜯어 먹힌 나머지 형체는 알아볼 수 없고 오직 뼈만이 앙상하게 남아 있다. 산티아고는 상어 떼와 사투를 벌이는 동안 한번은 이 모든 일이 차라리 꿈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한다.

 

소설의 백미는 다음 구절이다. "하지만 인간은 패배하도록 창조된 게 아니야.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 하고 그는 생각한다. 언뜻 보아 패배파멸사이에 별 차치가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패배는 어떤 대상과 겨루어서 지는 것을 뜻하고, 파멸은 파괴되어 없어지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까 파멸은 패배의 결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산티아고는 물질적으로는 패배할지 몰라도 정신적으로는 조금도 위축되거나 좌절하지 않는다. 어떤 역경과 고난에도 좀처럼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외부의 힘에 의해서 파멸할망정 정신적으로는 좀처럼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 산티아고야 말로 주인공의 본래의 뜻대로 영웅이다. 영웅적 주인공한테서 볼 수 있는 백절불굴의 정신이야말로 헤밍웨이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덕목이고 가치일 것이다. 항구로 돌아온 산티아고는 소년 마놀린에게 그놈한테 내가 졌어. 마놀린, 놈들한테 내가 완전히 지고 만 거야.”라고 말하는 것은 결과만 놓고 보면 패배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마놀린은 산티아고에게 할아버지가 고기에게 지신 게 아니에요. 고기한테 지신 게 아니라고요.”마놀린이 두 번이나 되풀이해서 말하듯이 산티아고는 비록 육체적으로  파멸 당했을지는 몰라도 청새치를 잡으려는 시도에서는 조금도 패배하는 것이 아니다. 그의 말은 들은 산티아고는 그렇지. 정말 그래. 내가 진 건 그 뒤였어.”라고 대꾸한다. 그 뒤란 상어 떼의 습격을 받고 난 뒤의 일을 말한다. 상어 떼의 습격을 받고 비록 파멸했을망정 자신이 세운 목표, 큰 고기를 낚았다는 점에서 그는 정신적으로 전혀 패배하지 않고 오히려 승리를 거둔 셈이다. 산티아고는 결과보다는 과정, 목표보다는 수단과 방법에 무게를 싣는 인물이다. 영웅이란 특별한 힘과 능력을 가진 사람일 수 있다. 영웅이란 시대를 변화시킨 사람일 수 있다. 그러나 진정한 영웅은 자신의 희생과 헌신으로 이웃에게 사랑을 준 사람이 아닐까!

 

드넓은 바다에서 홀로 고기를 잡는 산티아고는 자칫 개인주의를 상징하는 인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 그는 아내와 사별한 뒤 판잣집에서 혼자서 외롭게 살고 있으며, 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때도 다른 어부들과 좀처럼 어울리지 않고 홀로 고기잡이를 한다. 그는 한때 초라한 오두막집 벽에 아내의 사진을 걸어 두었지만 사진을 바라볼 때마다 너무 울적한 기분이 들어 그것을 떼어 방구석 선반 위 셔츠 밑에 넣어 두었다. 어쩌다 노인이 소년 마놀린과 함께 마을 술집 테라스에 앉아 있으면 어부들이 그를 놀려 대기도 한다. 요즈음 용어로 표현한다면 산티아고는 집단 따돌림을 받는 독거노인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소년 마놀린은 노인에게 음식과 옷을 비롯해 비누 같은 생필품을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낚시 도구를 날라주고 미끼를 잡아 주기도 한다. 더구나 그는 산티아고를 물질적으로 도와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와 정신적 반려자 노릇을 하기도 한다. 마놀린에게 산티아고는 멘토(Mentor)요 상징적 아버지인가 하면, 롤 모델이요 정신적 지주와 다름없다. 산티아고는 청새치와 싸우면서 여러 번 소년을 그리워한다. 단순히 그리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옆에서 고기잡이를 도와주고 쥐가 난 팔을 주물러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산티아고는 자신이 잡은 청새치에 대해서 미안하게 생각한다. 젊은 세대에 속한 어부들과는 달리 그는 자신이 낚는 고기를 단순히 물리쳐야 할 적대자나 경쟁자로 보지 않았다. 비록 죽이기는 했지만 청새치에게 적잖이 연민을 느낀다. 자신은 다랑어라도 잡아 허기를 채웠지만 꼬박 사흘 동안이나 아무 것도 먹지 못한 채 자신과 사투를 벌이고 있는 청새치가 왠지 불쌍하다는 생각을 한다. 심지어 청새치를 성자(聖子)에 빗대기도 한다.눈은 잠망경의 반사경처럼, 행렬에 끼어 걸어가는 성자의 눈처럼 초연했다.”라고 묘사한다. 청새치를 뱃전에 동여매고 항구로 돌아오는 장면에서는 누가 어부 이고 누가 고기인지 좀처럼 구별할 수 없다. 산티아고는 우리는 지금 마치 형제처럼 항해 하고 있지 않은가.”라고 생각하면서도 도대체 누가 누구를 항구로 끌고 오는지 모르겠다고 말한다. 산티아고와 소년 마놀린, 두 사람의 관계는 산티아고가 마침내 항구에 도착해 나누는 대화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사람들이 나를 찾았니?”“물론이죠. 해안 경비대랑 비행기까지 동원했어요.”산티아고는 자기 자신과 바다가 아닌, 이렇게 말상대가 될 누군가가 있다는 게 얼마나 반가운지 새삼 느낀다. “네가 보고 싶었단다. 그런데 넌 뭘 잡았니?” 망망대해에서 혼자 독백만 하던 산티아고는 마놀린을 다시 만나 대화를 나누는 것이 무척이나 반갑다고 고백한 것이다. 마놀린이 이제는 산티아고와 함께 고기잡이를 하겠다고 말하자 안 된다고 말하면서도 부정하는 강도는 낚시질을 떠나기 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훨씬 줄어들었다. 똑같은 상황인데도 며칠 전에는 그건 안 돼, 네가 타는 배는 운이 좋은 배야, 그러니 그 사람들하고 그냥 있어라.”하고 단호하게 거절했지만.

 

멕시코 만류의 망망대해에서 홀로 사흘 동안 사투 끝에 청새치와 잡아 뱃전에 매고 항구에 도착한 뒤(자신의 돛단배보다 더 큰 청새치는 비록 아가리와 앙상한 뼈만 남았지만) 산티아고가 돛대를 어깨에 걸머메고 넘어지면서 언덕 꼭대기에 있는 판잣집에 오르는 이미지는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걸머메고 골고다 언덕을 오르는 모습과 겹쳐진다. 또한 노인과 바다를 끝내는 마지막 장면에서 화자(話者)길 위쪽의 판잣집에서 노인은 다시금 잠이 들어 있었다. 얼굴을 파묻고 엎드려 여전히 잠을 자고 있었고, 소년이 곁에 앉아서 그를 지켜보고 있었다.”라고 말한다. “두 팔을 쭉 뻗고 손바닥을 위로 펼친 채 신문지에 얼굴을 파묻고.”산티아고가 두 팔을 벌리고 누워 잠을 자고 있는 그의 모습은 지금까지 여러 비평가들이 지적해 왔듯이 골고다 언덕 위 십자가에 못 박혀 고통 받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 헤밍웨이는 이러한 그리스도교적 상징이나 이미지를 빌려 산티아고의 고통과 희생과 겸손을 보여 준다. 또한 성실을 이득으로, 패배를 승리로, 심지어 죽음을 부활로 바꾸는 영웅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노인과 바다는 그는 멕시코 만류에서 조각배를 타고 홀로 고기잡이하는 노인이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해서 마지막으로 노인은 사자 꿈을 꾸고 있었다.”라고 말로 끝을 맺는다.

 

백조는 일생 동안 울지 않다가 죽기 직전에 단 한 번 아름다운 소리를 내며 울고 죽는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흔히 예술가들의 마지막 작품을 백조의 노래라고 일컫는다. ‘노인과 바다 헤밍웨이가 생존해 있을 시절 마지막으로 출간한 백조의 노래이다. 헤밍웨이는 두 번째 아내와 별거하고 재혼한 1940년부터 아예 쿠바로 이주해 20여 년 가까이 살았으며 노인과 바다는 바로 쿠바에 살면서 이 근처 멕시코 만()을 배경으로 쓴 작품이다. 한편 헤밍웨이에게 노벨 문학상을 수여한 스웨덴 한림원은 선정 이류를, ‘폭력과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현실 세계에서 선한 싸움을 벌이는 모든 개인에 대한 자연스러운 존경심을 다룬 작품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선한 싸움이란 물질적 또는 육체적으로는 파멸당해도 정신적으로는 패배하지 않는 작품의 주인공 산티아고의 모습을 가리키는 말로 받아들여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자유게시판

여기는 누구나 제약없이 자유스럽게 올릴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신자들의 도움 pr 2025년도 봄철 야외행사..... file 박광용(루까) 2025.05.19 42
170 신자들의 도움 pr 연극관람... file 박광용(루까) 2025.04.15 73
169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및 주거 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 폐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합시다. file 아브라함 2025.03.30 64
» ‘노인과 바다’ 후기 김종복(요셉) 2025.02.08 62
167 2025년 12월 마르꼬회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4.12.05 119
166 2024년 마르꼬회 가을야외행사(10,12). file 박광용(루까) 2024.10.13 162
165 For Whom the Bell Tolls(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김종복(요셉) 2024.10.01 104
164 영화 ’Sound of Music’의 추억을 찾아서! file 김종복(요셉) 2024.08.21 116
163 8월 마르꼬회 월례회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4.07.08 128
162 천자암을 오르내리며 1 김종복(요셉) 2024.07.02 136
161 마르꼬회 2024년 춘계야외행사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4.05.18 127
160 오스트리아 비엔나(Republic of Austria,Vienna) file 김종복(요셉) 2024.01.21 129
159 12월 마르꼬회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3.12.03 174
158 2023년, 위령성월의 단상(斷想) 2 김종복(요셉) 2023.11.29 101
157 연령회 봉사자 성지순례 file 김종복(요셉) 2023.11.07 203
156 칠곡 다부동에서 김천 직지사까지 1 file 김종복(요셉) 2023.11.01 107
155 나들이 - 함안 악양생태공원, 입곡 저수지 1 file 김종복(요셉) 2023.11.01 104
154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김종복(요셉) 2023.10.21 95
153 무기여 잘 있어라  김종복(요셉) 2023.10.10 90
152 성모 발현지 - 파티마의 추억 file 김종복(요셉) 2023.09.19 140
151 톨스토이 필생의 역작 - 전쟁과 평화 김종복(요셉) 2023.08.31 67
150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家)의 형제들’ 후기(後記) 김종복(요셉) 2023.07.02 188
149 5월 마르꼬회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3.05.06 193
148 “주니이이이...임!”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 김종복(요셉) 2023.03.09 138
147 3월 마르꼬(장년회)개최후 2차주회실시..... file 박광용(루까) 2023.03.05 211
146 십자가의 길 15처 아브라함 2023.03.03 130
145    '하얼빈’에서 만난 대한제국의 ‘영웅’ 김종복(요셉) 2023.02.20 148
144 마르꼬회(장년회) 2월 월례회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3.02.06 171
143 대전 국립현충원에 다녀 왔습니다 1 김종복(요셉) 2023.01.19 166
142 세밑에 다가온 아련한 추억 김종복(요셉) 2022.12.26 170
141 2022년 12월 마르꼬회 정기총회및 년말모임.... file 박광용(루까) 2022.12.04 213
140 2022년, 위령의 날의 단상 김종복(요셉) 2022.11.14 194
139 2022년 마르꼬회 추계야외행사 실시.... file 박광용(루까) 2022.11.06 185
138 터키 - 이스탄불 순례(1) file 김종복(요셉) 2022.10.21 232
137 터키 - 이스탄불 순례(2) file 김종복(요셉) 2022.10.21 259
136 터키 - 이스탄불 순례(3) file 김종복(요셉) 2022.10.21 131
135 9월 마르꼬회 모임 후 회합모임~^O^~ file 박광용(루까) 2022.09.04 219
134 터키 - 에페소 순례(2), 성모마리아 집, 사도 요한 기념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22.09.02 458
133 터키 - 에페소 순례(1), 고대 로마 유적지, 성모 기념성당 1 file 김종복(요셉) 2022.08.10 251
132 7월3일(주일) 마르꼬회 개최 후 식사...... file 박광용(루까) 2022.07.03 216
131 선종 10주기를 맞은 어머니께! 2 김종복(요셉) 2022.07.02 277
130 터키 - 요한 묵시록의 '필라델피아, 사르디스, 티아티라, 페르가몬' 교회 file 김종복(요셉) 2022.06.02 212
129 내원사 계곡에서 김종복(요셉) 2022.05.23 291
128 덕산동 성당 5월 마르꼬회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2.05.01 287
127 6,25당시 전쟁터에서 군종신부의 미사집전 모습.... 박광용(루까) 2022.02.19 263
126 프랑스 파리 - 대 참사 이전,ㆍ이후ㆍ 노트르담 대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21.12.31 468
125 터키 - 요한 묵시록의 ‘라오디케이아 교회’와 '히에라폴리스' file 김종복(요셉) 2021.12.09 492
124 2021년을 보내면서 12월 마지막 마르꼬회 개최.... file 박광용(루까) 2021.12.05 290
123 2021년 대림시기 굿뉴스 모바일 복음쓰기 file 아브라함 2021.11.27 229
122 2021년, 위령성월을 보내면서! 1 김종복(요셉) 2021.11.13 270
121 터키 - 신약 성경의 '이코니온',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 순례 file 김종복(요셉) 2021.10.25 687
120 터키 - 카파도키아 순례 file 김종복(요셉) 2021.09.24 395
119 터키 - 사도 바오로의 고향, '타르수스' 순례 file 김종복(요셉) 2021.07.24 616
118 2021년, 5월의 푸념 김종복(요셉) 2021.06.12 301
117 절벽 위 '공중수도원'.. 신앙은, 이렇듯 숭고하다...... 박광용(루까) 2021.05.08 322
116 기도를 증진시키는 수련 아브라함 2021.04.25 186
115 봉쇄 수도원 카르투시오 공동체를 위한 기도문 file 아브라함 2020.11.14 438
114 봉쇄 수도원 카르투시오와 함께 하는 9일 간의 랜선피정 file 아브라함 2020.11.13 393
113 진해 카리타스 10월 봉사 file 홍보분과 2020.10.31 210
112 추석 연휴와 함께한 “한 말씀만 하소서” 김종복(요셉) 2020.10.13 256
111 축복식[더원 재가노인복지 센터] file 홍보분과 2020.05.23 298
110 본당 대항 모바일 복음 쓰기 이벤트에 참가합시다. file 아브라함 2020.05.14 355
109 진해카리타스 5월 봉사 file 홍보분과 2020.05.04 218
108 마산교구 부활 제3주일 미사 file 홍보분과 2020.04.27 227
107 마산교구 공동체 미사 재개 file 홍보분과 2020.04.24 274
106 부활 제2주일 미사 file 홍보분과 2020.04.19 195
105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미사 file 홍보분과 2020.04.04 276
104 진해 카르타스 봉사단 현황 file 홍보분과 2020.03.30 253
103 교황청 [담화] 제35차 세계 젊은이의 날 교황 담화 홍보분과 2020.03.30 236
102 마산교구 [공동체 미사 재개일 연기], [2020년 파스카 성삼일 지침], [본당 감염병 예방 수칙] file 홍보분과 2020.03.30 193
101 사순 제5주일 미사 홍보분과 2020.03.28 207
100 사순 제4주일 주일미사 홍보분과 2020.03.21 200
99 마산교구 [미사 재개, 미사 영상, 부활 판공] file 홍보분과 2020.03.21 221
98 교구 사순 제3주일 미사 file 홍보분과 2020.03.14 234
97 진주 신안동 성당 사순 제2주일 미사 홍보분과 2020.03.07 399
96 마산교구 "미사 및 모임 중단 연기" file 홍보분과 2020.03.03 300
95 진해 카리타스 봉사단 `20년 2월 활동 file 홍보분과 2020.03.03 257
94 마산교구 사순 제1주일 미사 file 홍보분과 2020.02.29 234
93 남아가다 수녀 축일 피로연 file 홍보분과 2020.02.03 332
92 조명래 안드레아 주임신부 환영 피로연 file 홍보분과 2020.01.21 326
91 최봉원 야고보 주임신부 환송 피로연 file 홍보분과 2020.01.14 364
90 진해 카르타스 봉사단 12월 활동 file 홍보분과 2019.12.21 208
89 성탄 맞이 대청소 file 홍보분과 2019.12.21 229
88 문홍근 디모테오 마산교구 제25기 신앙대학 졸업 file 홍보분과 2019.12.18 290
87 진해 카르타스 봉사단 표창장 수여 file 홍보분과 2019.12.17 225
86 크리스마스 트리 작업 file 홍보분과 2019.12.14 194
85 교구홈페이지 덕산성당 성령묵상회 file 홍보분과 2019.12.03 231
84 여성복사단 성지순례 file 홍보분과 2019.11.29 290
83 진해 카리타스 11월 봉사 file 홍보분과 2019.11.26 170
82 울뜨레아 최우수 수상 file 홍보분과 2019.11.17 206
81 진해 카리타스 11월 활동 file 홍보분과 2019.11.16 181
80 구역분과 피정[운산공소] file 홍보분과 2019.11.16 228
79 [밀알성물회] 피정 file 홍보분과 2019.11.16 180
78 위령미사에 잠긴 상념 file 김종복(요셉) 2019.11.12 327
77 진해지역 성령 은혜의 밤 file 홍보분과 2019.11.11 198
76 동유럽 성지 순례를 마치고 1 루치오 2019.11.01 368
75 동유럽 성지순례 file 홍보분과 2019.11.01 317
74 체코 프라하 성, 성 비투스 대성당, 카를교, 체스키크룸로프 역사지구 순례 file 김종복(요셉) 2019.10.27 784
73 진해 까르타스 10월 활동 file 홍보분과 2019.10.18 220
72 구약성경 역사서 필사 후 바라본, '분노의 포도' 1 file 김종복(요셉) 2019.09.18 431
71 홍보분과 2019년 감사 수검을 마치고 2 file 홍보분과 2019.09.05 274
70 성가단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1 file 야고보 2019.08.19 292
69 마산교구보 '가톨릭마산'에 실린 본당주임신부의 강론 file 홍보분과 2019.08.15 244
68 본당 교우들에게 드리는 글 2 file 야고보 2019.06.16 317
67 김미지 이레네 자매님 사진전 file 홍보분과 2019.05.05 297
66 세 번째 맞는 십자가의 길 file 아브라함 2019.03.21 296
65 두 번째로 맞는 십자가의 길. file 아브라함 2019.03.15 231
64 해군사관생도 73기 졸업 및 임관 축하 미사 file 홍보분과 2019.03.01 334
63 역사 인물 공원 file 홍보분과 2019.02.18 194
62 마산교구 3번째 100주년 함양성당 file 홍보분과 2019.02.18 277
61 최봉원 주임신부 함양 운산공소 미사 [2019. 2. 16(토)] file 홍보분과 2019.02.18 281
60 마산교구 홈페이지에 실린 '덕산동본당 사목협의회 위원 연수' file 홍보분과 2019.02.18 718
59 김수환 추기경 선종 10주기 책 『저 산 너머』 file 홍보분과 2019.02.18 317
58 신앙대학 26기 입학식(2019년) file 홍보분과 2019.02.16 207
57 본당 주차장 주차선 정비 file 홍보분과 2019.02.02 219
56 함양 운산공소 미사 file 홍보분과 2019.01.15 395
55 [ 한사람의생명 ]관련하여, 함께 기도바랍니다 . . file 그레고리오 2019.01.12 179
54 교구 홈페이지에 실린 본당 연차 총친목회 내용 file 홍보분과 2018.12.19 254
53 제3회 전례 꽃꽂이 전시회 file 홍보분과 2018.11.29 704
52 산청 국립호국원 다녀왔습니다. file 김종복(요셉) 2018.11.26 589
51 제4회 파티마 성경학교 성극대회 file 홍보분과 2018.11.21 431
50 2018년도 안보특별 종교강연회 (2018년 11월 6일) file 홍보분과 2018.11.07 277
49 위령성월(慰靈聖月)을 맞으면서 file 김종복(요셉) 2018.11.03 372
48 이태리, 수비아코(Subiaco) 베네딕도 수도원 file 김종복(요셉) 2018.10.25 1548
47 이태리, 오르비에토 대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8.10.25 1081
46 성 베네딕도 수녀회의 총원장으로 선출된 서준석 마오로 수녀님 file 홍보분과 2018.10.22 768
45 2018년 어르신 한마당놀이 file 홍보분과 2018.10.14 229
44 파티마 성모 발현 101주년 기념 및 세계평화와 한반도 평화통일 기원미사 file 최리노 2018.10.12 283
43 알아야 면장(面墻)을 한다! 1 file 김종복(요셉) 2018.08.31 366
42 10여년전 마르꼬회원 등산및 야외행사 모습 ... 2 file 박광용(루까) 2018.06.22 312
41 나의 신앙 고백과 성지순례의 은총 1 file 김종복(요셉) 2018.03.17 624
40 친절과 배려가 가져다 준 행운 1 file 김종복(요셉) 2018.03.04 638
39 성 베드로 대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7.09.25 2211
38 로마 바티칸 박물관 1 file 김종복(요셉) 2017.09.22 1299
37 프란치스코의 작은 나무 - 성녀 클라라 file 김종복(요셉) 2017.08.31 659
36 "베드로의 눈물" - 고(故) 최인호(베드로) 1 file 김종복(요셉) 2017.08.27 715
35 연령회원 부산 나들이 file 김종복(요셉) 2017.05.23 270
34 성모 울타리 공동체 file 홍보분과 2017.03.27 1187
33 문학 기행 - 돈키호테(Don Quixote)를 만나다. file 김종복(요셉) 2017.01.29 1049
32 아시시 순례(1) – ‘천사들의 성모마리아 대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6.12.10 1771
31 아시시 순례(2) - 산타 키아라(클라라) 성당(Basilica di Santa Chiara) file 김종복(요셉) 2016.12.10 1199
30 아시시 순례(3) -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Basilica di San Francesco) file 김종복(요셉) 2016.12.10 1690
29 중앙성당 바자회 file 홍보분과 2016.10.10 420
28 추석맞이 어려운 이웃돕기 file 리차드 2016.09.17 302
27 국채보상 운동 2 file 홍보분과 2016.09.09 271
26 이스라엘(북부지역) 성지순례 - 베드로 수위권 성당, 오병이어 성당, 참 행복 선언 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6.07.21 2080
25 이스라엘(북부지역) 성지순례 - 단, 카이사리아 필리피, 코라진, 카파르나움 file 김종복(요셉) 2016.07.21 1726
24 이스라엘(북부지역) 성지순례 - 나자렛 주님 탄생 예고 성당, 성가족 성당, 카나의 혼인잔치 기념 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6.07.18 1851
23 수녀님과 함께 file 홍보분과 2016.06.27 378
22 캐나다 몬트리올 성요셉 성당과 나이아가라 폭포 file 김종복(요셉) 2016.04.06 2055
21 요르단 성지순례(1) - 느보산 모세 기념성당, 메드바 ‘성 게오르기오’(성 죠지)성당, 모세의 샘(와디무사) file 김종복(요셉) 2016.03.09 2268
20 요르단 성지순례(2) - 불가사의의 페트라 유적지, 세례자 요한 순교지(마케루스 요새) file 김종복(요셉) 2016.03.08 1599
19 산티아고 순례길 이야기 - 영화 '더 웨이(The Way) file 김종복(요셉) 2016.02.09 2393
18 새내기 연령회원이 바라본 연도(煉禱) file 김종복(요셉) 2016.02.09 468
17 포르투갈 성지순례 - 파티마 성모발현 성지 file 김종복(요셉) 2015.12.22 2850
16 포르투갈 성지순례 - 제로니무스 수도원과 벨렘 역사지구 file 김종복(요셉) 2015.12.22 5472
15 스페인 성지순례 - 스페인 신앙의 수도 톨레도 대성당, 산토 토메 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5.12.17 2066
14 스페인 성지순례 - 바르셀로나 성가족 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5.12.15 2251
13 스페인 성지순례 - 검은 성모상과 함께한 몬세라트 수도원 file 김종복(요셉) 2015.12.14 4853
12 스페인 성지순례 - 세계에서 가장 큰 '고딕양식'의 세비야 대성당 1 file 김종복(요셉) 2015.12.11 2161
11 교구 성경공부반 file 홍보분과 2015.12.10 310
10 스페인 성지순례 - '부르고스 대성당' 1 file 김종복(요셉) 2015.12.08 1890
9 스페인 성지순례 - 순례길의 종착지 ‘산티아고 대성당’ file 김종복(요셉) 2015.11.24 2650
8 1. '카타리나 팀' 이스라엘 성지순례기 file 리노 2015.11.09 2669
7 2. '카타리나 팀' 이탈리아 성지순례기 file 리노 2015.11.09 2166
6 기행문 - 화가들의 고향, 남 프랑스 (프로방스) file 김종복(요셉) 2015.09.06 7128
5 영화 감상문 file 김종복, 요셉 2015.04.12 1151
4 순교복자 5위 탄생 경축대회 file 홍보부 2014.09.26 347
3 바위섬 전체가 수도원인 프랑스 몽생미셸 수도원 file 지파비올라 2014.03.05 797
2 독일 쾰른 대성당 file 지파비올라 2014.03.04 683
1 이별은 그리움을 만들고..... file 이 아브라함 2011.01.07 63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