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덕산성당 25년 발자취
P. 64

④ 웅동공소
                                                                                                                                                           웅동공소는 1957년에 설립되었다고 마산교구 10

                                                                                                                                                         년사에 기록되어있다.

                                                                                                                                                           사실상 웅동공소는 사라호 태풍(1959.9) 이후 다시
                                                                                                                                                         지어진 공소였으나 공소예절만 할 수 있을 뿐 다른

                                                                                                                                                         부속건물이 없어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웅동 공소                 그러다가 경화꾸리아가 설립되면서 레지오 단원
                                                                                                                                                         들이 매주 파견되어 공소예절을 하게 되었고 사람이
                                                                                                                           살 수 있는 방 하나가 만들어 지면서 관리를 할 수 있었다.

                                                                                                                             1992년 6월 28일 웅동공소 성모상이 제막되었고 박용규(베드로)가 공소회장을 맡아
                                              현재 웅천 공소
                                                                                                                           정기적인 예절이 봉헌되었으나 1992년 8월 경화본당에서 덕산본당이 분리되면서 웅동

                                            하였지만 사실상 공소신자들의 자발적인 모임은 어                                                     공소는 덕산본당 소속으로 이관되었다가 2007년 12월 26일 용원본당이 신설되면서 용
                                            려웠고 경화본당 레지오 단원들이 주일마다 방문해                                                     원본당으로 이관되었다.

                                            서 예절을 시작하면 그때서야 신자들 집에 연락이
                                            가서 하나, 둘 신자가 모이면 예절이 시작되는 실정

                                            이었다. 본당차원에서 월1회 정도 공식방문이나 미
                                            사도 없었으며 본당 신부가 바뀌면 공소확인 차 한
                       공소 제대
                                            번씩 방문하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경화 제8대 주
                                            임 정영규(마르코) 신부가 부임하면서 1986년 4월에
                                                                                                                                                          웅동공소 성모상 제막식
                                            웅천공소 부지가 도시계획에 따라 일부가 도로부
                                            지로 편입됨으로써 도시계획으로 떨어져 나간 웅천

                                            성내동 413번지 땅 99평을 팔아 기존의 공소부지                                                     3. 진해 지역의 첫 성당 건립
                                            성내동 414-1번지에 공소를 신축하기에 이르렀고
                      현재 성모상
                                            그 해 10월에 현재의 웅천공소를 준공하였다.                                                        스스미가 죽은 뒤 김백수 일가는 요사이 마을(현재 진해 태백동)에 정착하게 되었고 공
              1992년 8월 경화본당에서 덕산본당이 분리되면서 웅천공소는 덕산본당에 소속 되었                                                                소를 돌보며 전교에 힘썼다. 해방이 되자 미군이 진해에 주둔하기 시작하였고 현 진해
            다가 2007년 12월 26일 용원성당이 신설 되면서 용원성당으로 편입 되었으나 2010년 9                                                           여고 자리를 군정청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미군 신자들을 위해 군종신부가 진해로

            월 7일, 신자들의 미사참례를 위한 이동시에 겪는 어려움으로 덕산본당으로 재편입되                                                                  왔는데 그가 드레그(Dreg)신부였다. 드레그 신부는 우선 경화공소에서 미사를 드리며

            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국 신자들에게도 관심을 가졌다.





            62  덕산성당 25주년 발자취                                                                                                                                                       제2부. 본당의 역사 및 특징  63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