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조회 수 7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당[本堂, 라틴어 [Paroecia(파로에키아)] 영어 [Parish]] (가톨릭대사전의 내용)

 ① 가톨릭 교회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다만 이 말의 쓰임새로 볼 때 보편적인 가톨릭 교회를 이루고 있는 조직적이고 지역적인 부분교회 혹은 단위교회라고 할 수 있고, 이 말은 교회의 교계제도상 주교의 권한에 속하는 지역단위교회인 교구 내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지역사회 속에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기초적인 교회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단위교회가 본당이다.

 ② ‘이웃에 살다’, ‘함께 살다’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Paroikia(파로이키아)에서 라틴어 Paroecia(파로에키아)가 유래되었고, 이 말이 중국에서 ‘本堂’(본당)이라는 말로 번역되어 오늘날까지 쓰이고 있다. 초대 교회 당시 사도들의 순회 선교를 통하여 형성되기 시작한 각 지역에서의 공동체 생활은 점차 지역교회로 변모해 갔으며, 사회의 발전과 함께 이를 지역교회도 하나의 보편적인 교회를 이루기 위하여 체제와 조직을 갖기 시작하였다. 즉 도시를 중심으로 각 지방에 전파된 가톨릭 교회는 당시의 사회변천에 따라 도시교회와 지방교회가 서로 예속성과 독립성을 갖는 교계제도로 점차 자리잡게 된 것이다. 도시교회는 점차 현재의 교구의 의미를 갖게 되고 지방교회는 지방 공동체로 남게 되었다. 그 뒤 많은 공의회를 거쳐 가톨릭 교회는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교계제도를 갖게 되었고, 본당의 성격 및 의미도 이와 함께 확립되어 왔다. 따라서 초대 교회 때 그리스도교인 공동체를 의미하던 ‘Paroecia
(파로에키아)’도 점차 교회용어로 쓰이기 시작한 뒤 오늘날과 같은 본당의 의미를 갖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③ 부분교회로서의 본당은 보편적인 교회가 갖는 모든 기본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주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주교의 협조자인 사제는 항상 본당에 상주하면서 주교에 의해 정해진 관할구역의 공동체를 위해서 사목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역이 아니라 구성원을 중심으로 본당(Paroeciae personales)이 형성될 수 있다. 하느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그 말씀을 듣는 곳으로서 성체성사와 함께 모든 성사가 행하여지는 곳이어야 한다. 아울러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증인들의 공동체로서 항상 개방되어 있는 선교 공동체이어야 한다.

 ④ 이와 같은 성격의 본당은 지역 공동체로서의 지역적인 특성과 그 특성에 어우러지는 기능이 고려되어 설정되어야 하며, 그 특성과 기능에 합당하게 사제와 평신도 모두는 하느님 백성으로서 함께 본당을 운영해야만 한다.

 

  (천주교 용어사전의 내용)

 이는 일정한 지역 사회 속에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기초적인 교회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단위 교회를 말한다. 단위 교회는 교계 제도상 주교의 권한에 속하는 지역 단위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교구장 주교의 권한을 위임받은 주교의 협조자인 사제(주임 신부, 본당 신부)가 상주한다. 따라서 본당 신부란 교구장의 파견을 받고 관할 구역 내를 사목하는 사제를 말한다.

 

  (천주교 용어자료집의 내용)

 교구장의 권위로 본당 신부에게 사목을 맡긴, 교구의 한 부분을 이루는 신자들의 공동체.
교회 행정 단위에서 신부가 상주하는 성당들은 본당에 해당한다. 교회법에서 본당의 정식 명칭은 ‘본당 사목구’이다.

 

 

▶성당[聖堂, 라틴어 [Ecclesia(레시아)] 영어 [Church]] (가톨릭대사전의 내용)

 경신례를 위해 모든 신자들이 이용하도록 지정된 거룩한 건물. 성당은 경신례를 위한 이용자의 범위가 모든 신자라는 점에서 그 범위가 특정 집단인 경당(Oratories),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자연인인 개인 소성당(Private chapels) 등과 다르다. 성당의 건축은 교구장의 명시적 서면 동의를 요하며 신축된 성당은 고유한 칭호를 갖고 봉헌된다. 성당은 장소의 거룩함에 어울리지 않는 것을 제거해야 하고 폐쇄할 때는 천하지 않은 용도로 변경해야 한다. 신자들은 경신례를 특히 공적으로 행하기 위해 성당에 출입할 권리가 있다(교회법 1214~1222 참조).

 

  (천주교 용어사전의 내용)

 ① 의의 : 성당은 하느님을 경배하기 위해 지정된 거룩한 건물이다. 이곳은 신자들이 미사나 전례에 참여하기 위해 모이는 장소이며, 성체 안에 현존하시는 하느님이 거처하는 장소이다. 넓은 의미에서 성당은 하느님 경배를 위해 지정된 모든 건물을 말한다. 그러므로 대성전, 경당, 사설 예배실 등도 성당에 해당한다.

 
성전 : 성전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야훼 하느님을 섬기던 신전, 즉 시나고가(Synagoga)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하느님의 대궐, 혹은 하느님의 집을 말한다. 당시의 성전은 예루살렘 한 곳뿐이었다. 오늘날 대성전(大聖殿)은 교황에 의해 특전이 부여되어 있으며, 역사, 예술, 신앙적인 면에서 중요성이 인정되는 성당이다.

 이중에 상급 대성전은 교황만이 사용할 수 있는 제대와 성년에만 열리는 성문이 있다. 예를 들어 라테라노 대성전, 베드로 대성전, 성 바오로 대성전, 성모 마리아 대성전(4 대성당[Basilica(
바실리카)])이 그것이다.

 그리고 하급 대성전은 휘장, 종, 성가대 특별 복장의 사용 등이 특전으로 부여되어 있다. 이에 해당하는 성전은 예루살렘의 성십자가 대성전, 카타콤바의 성 세바스티아노 대성전, 트란스테의 성모 마리아 대성전, 12사도 대성전, 빈콜리 성 베드로 대성전, 천사들의 성모 마리아 대성전 등이 있다.

 
대성당 : 이는 주교좌(主敎座) 성당으로 주교의 교좌(敎座)를 고정적으로 두고 있다. 그런데 이는 주교의 직위에 따라 총대주교좌, 수석 대주교좌, 대주교좌, 주교좌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준주교좌(準主敎座) 성당에는 준교구, 자치 수도원구, 대목구, 지목구좌 성당이 있다. 그리고 본당에는 성당(聖堂), 공소(公所), 수도원이나 신학교의 경당(經堂)이 있다.

 

  (천주교 용어자료집의 내용)

 하느님을 경배하기 위해 축성한 거룩한 건물.
신자 공동체가 기도하고 미사에 참례하기 위해 모이는 장소이며, 성체 안에 현존하시는 하느님의 거처이다.

 

 

         관련 참고자료


  1. '본당(本堂)', '성당(聖堂)'의 차이

  2. [사순부활] 재의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사순 시기, 전례 의미를 알아보자

  3. [전례] 거룩한 침묵

  4. [전례] 신학 산책22: 대축일, 축일, 기념일이 뭔가요?

  5. [미사] 영성체 예식

  6. [대림성탄] 신경에서 드러나는 성탄의 의미

  7. [전례]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Et cum spiritu tuo)

  8. 대림 시기에 만나는 인물들: 이사야 · 요한 세례자 · 마리아 file

  9. [전례] 장례미사를 못 하는 날도 있나요?

  10. [전례] 새 로마 미사 경본(한국어판) 살펴보기

  11. 성수는 마셔도 되나요?

  12. 평화의 인사

  13. 하느님 말씀에 응답하는 교회 공동체

  14. TV 미사 참례, 수많은 의문과 몇 가지 제안

  15. 미사의 동작들에 숨어있는 의미

  16. 빵 나눔 예식

  17. 공복재는 무엇인가요?

  18. 미사보를 쓰지 않으면 영성체를 못하나요?

  19. 미사 중에 왜 자주 일어났다 앉았다 하나요?

  20. 미사 전례에 관한 궁금증 몇 가지

  21. 대부(代父), 대모(代母)는 무엇하는 사람인가요?

  22. [미사] 교중미사의 중요성에 대해

  23. 성찬 전례 때 복사가 종을 치는 것의 의미와 유래, 복사의 유래와 의미

  24. 예수 부활 대축일 file

  25. 부활성야 file

  26. 주님 수난 성 금요일 file

  27. 주님 만찬 성 목요일 file

  28. 2017년 주님 수난 성지주일 file

  29. 파스카 성삼일

  30. 모든 영예와 영광이 하느님 아버지께(마침 영광송)

  31. 성전에서 지켜야 할 예절

  32. 성당에 들어설 때 지켜야 할 예절

  33. 구원의 보증인 성사(聖事)

  34. 성체의 소중함을 보여준 사제

  35. 사순 시기의 의미와 전례

  36. 첫영성체는 몇 살부터? 신자들도 성혈과 성체를 함께 모실 수 있나?

  37. 미사 때 ‘제병과 포도주’ 대신 ‘떡과 막걸리’를 쓸 수 있나요?

  38. 주님, (아무)를 생각하소서!(전구)

  39. 네 형제를 어떻게 하였느냐?

  40. 엠마오의 두 제자와 성찬례, “받아먹어라.”

  41. 따분한 전례? 따분한 내 인생?

  42. 자신의 몸과 피를 봉헌하신 그리스도

  43. 일요일(日曜日)? 주일(主日)?

  44. 성모상 앞에서 절하면 우상 숭배인가요?

  45. 제대, 그리스도 상징하는 성당의 중심

  46. 미사는 신부님만 정성껏 드리면 되는 것 아닌가요?

  47. 제물 봉헌

  48. 영성체 후 묵상 file

  49. 하느님의 어린양 file

  50. 주님의 기도 file

  51. 거룩하시도다 file

  52. 알렐루야 file

  53. 대영광송 file

  54. 자비송 file

  55. 국악 율동 미사 -소고춤 file

  56. 미사 전례를 풍성하게 하는 성가대

  57. 미사보(미사수건)

  58. 기념(아남네시스)

  59. 있는 듯 없는 듯한 해설자

  60. 기념 환호

  61. 한가위 추석 명절 미사

  62. 하느님의 입이 되어야 하는 독서자

  63. 성찬 제정과 축성(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64. 전례부 교육 file

  65. 감실은 왜 존재하나요?

  66. 기본적인 의무인 주일미사를 지키지 못한 경우

  67. 예수 부활 대축일 file

  68. 부활성야 2 file

  69. 부활성야 file

  70. 주님 수난 성 금요일 file

  71. 주님 만찬 성 목요일 file

  72. 2016년 주님 수난 성지 주일 file

  73. 재의 수요일 file

  74. 사순시기 전례와 신앙생활 file

  75. 캔들마스를 아시나요?(주님 봉헌 축일)

  76. 주님 봉헌 축일 file

  77. 개신교, 무엇이 다른가요?

  78. 매주 참례하는 미사, 얼마나 알고 계세요?

  79.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1월 1일)

  80. 성탄의 기원과 의미

  81. 판공성사 이야기

  82. 대림시기 의미와 전례

  83. 감사기도의 시작 대화

  84. 입당 행렬과 입당 성가

  85. 미사 독서의 실제 지침과 방법

  86. 묵주기도(로사리오) 성월을 맞아

  87. 감사 기도

  88. 제단의 봉사자 - 복사

  89. 미사와 신자생활

  90. 손 영성체와 입 영성체

  91. 신앙 고백

  92. 예물 준비 예식의 동작과 기도들

  93. 넉넉한 축복에 감사드림, 한가위 추석 명절 미사

  94. 영성체 예식, 주님의 기도

  95. 알렐루야

  96. 대영광송

  97. 마침 예식

  98. 예물 준비

  99. 제대 준비와 장식

  100. 제대와 감실의 관계

  101. 제대 위의 십자고상과 초

  102. 제의에 사용하는 여러 색깔의 의미

  103. 빵과 포도주 - 성찬례의 재료

  104. 신자들의 예물봉헌

  105. 빵과 포도주를 들고 바치는 기도

  106. 하루 영성체 횟수

  107. 예물 행렬과 성가

  108. 미사 때 향과 촛불의 의미

  109. [성인복사단]성지 순례 file

  110. 2013년 영세식 file

  111. 미사 중에 지켜야 할 예절

  112. 전례상식 - 주일에 임하는 자세

  113. 전례상식 - 주일의 의미

  114. [어린이 복사단] 입단식 file

  115. 부활절 영세식 사진 file

  116. 부활 성야 및 영세식 file

  117. 2009년 첫 영성체 file

  118. 성 주간의 전례

  119. 사순시기 단식

  120. * 미사 참례 시 유의 사항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