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2009.04.04 21:27

한국 천주교회사 (7)

조회 수 432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03위 순교성인 낳게한 박해시대 상황 - 유학과 상반된 사학으로 배척

박해의 배경, 신유박해
 
박해는 교회를 정화하고 신앙을 담금질하는 '용광로'. 103위 한국 성인들은 모두 박해로 치명한 순교자들이다. 1784년 조선에 첫 가톨릭 신앙공동체가 탄생한 이후 약 100년 가까운 박해로 1만명 이상이 순교했고, 남은 신자들은 깊은 산골과 외딴 오지에서 신앙의 명맥을 이어갔다. 하지만 박해가 혹독할수록 대지를 적신 순교자들의 보혈은 더 많은 신앙의 싹을 꽃피었다. 순교자들의 거룩한 죽음 위에 뿌리내린 한국 천주교회는 이제 세계교회가 주목할 만큼 성장했다.

새천년을 맞아 첫번째 맞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을 지내며 103위 순교 성인을 낳게 한 박해시대의 상황을 재조명한다. <자료 제공 한국교회사연구소
>

우리나라 최초의 박해는 1785년 을사년에 추조 곧 형조의 관리들이 명례방(지금의 명동)에서 집회를 하고 있는 신자들을 체포, 김범우를 단양으로 유배시킨 을사추조적발사건이다. 그러나 조정의 지시에 의한 최초의 박해는 이른바 진산사건으로 불리는 1791년의 신해박해다. 진산 땅의 윤지충(바오로)과 권상연(야고보)이 조상제사를 금지한 북경 주교의 가르침에 따라 신주를 파묻은 것이 드러나 사형을 당한 것이다
.

이후 1879년 파리외방전교회의 드케트 신부가 중국으로 추방될 때까지 약 100년간 크고 작은 박해가 이 땅을 순교자의 피로 물들였다. 이중 1801년의 신유박해와 1839년의 기해박해, 1846년의 병오박해, 1866년의 병인박해를 4대 박해라고 부르며, 4대 박해로 순교한 분들 가운데서 103위 성인이 탄생한 것이다
.

박해의 배경

 
박해의 원인과 배경은 정치 사회 문화 등 여러 측면에서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사상적으로 당시 조선은 유교를 문화적 지주로 삼고 있었으며 자연스럽게 정학(
正學)인 유학에 배치되는 서학(천주교 교리)은 사학(邪學)으로 배척의 대상이 되었다
.

또한 조상제사를 금하고 만인 평등을 내세우는 천주교는 당시의 사회 윤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악한 집단으로 간주되었다
.

정치적 배경도 박해의 주요한 원인이 됐다. 초창기에 천주교를 신봉했던 사람들은 남인계열의 소장학자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남인 사이에서도 천주교에 우호적인 친서계와 비판적인 공서계로 나뉘어졌다. 공서계 인물들은 노론 벽파와 함께 친서계 인물들이나 이에 동조하는 노론 시파 세력들을 제거하고자 했다
.

이밖에 외국 선교사 영입을 위한 신자들의 활동이 서양 오랑캐의 앞잡이 역할을 한 반역행위로 인식된 것이나 또는 밀고자나 배교자들의 고발도 박해의 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

이런 것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해 박해가 일어난 것이다
.

신유박해

  1800
년 정조가 죽고 순조가 11세의 나이로 왕위를 물려받자 대왕대비 정순왕후 김씨가 수렴첨정을 시작하면서 노론 벽파의 주도로 이루어진 박해. 대왕대비는 신유년인 1801 110(양력 222) 박해령을 내리면서, 오가작통법(
五家作統法)을 시행하여 천주교 신자들을 모조리 잡아들이도록 했다. 이에 따라 기호 남인의 거두인 권철신(암브로시오)을 비롯해 이가환 이승훈(베드로), 정약용(요한) 등 지도층 신자들이 체포돼 참수 또는 유배형을 받았다. 또 충청도에서는 '내포의 사도'라고 불리는 이존창이 붙잡혀 참수됐다
.

박해는 312일 주문모 신부가 의금부에 자수하면서 더욱 가열됐으며 그 해 9월에는 이미 체포령이 내려졌던 황사영이 체포되면서 그가 지니고 있던 '백서'가 발각됨으로써 큰 파란을 불러일으켰다
.

신유박해는 122일 이미 내린 사형선고는 속히 집행하고 판결을 내리지 않은 죄인들에 대한 신문도 속히 끝내고 더 이상의 수사를 하지말라는 '토사교문'이 반포됨으로써 공식적으로 끝났다
.

신유박해로 인해 약 100명이 순교했고 400명 정도가 유배되었으나, 이들 순교자들은 아무도 시성되지 않았다. 그것은 한국교회가 순교자들에 대한 시복시성 작업을 추진할 때 기해박해 때의 순교자들부터 그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

기해박해


기해박해
  '
기해박해' 1839(헌종 5) 3월에서 10월까지 약 8개월여간 전국을 휩쓴 박해로 103위 한국 천주교 순교성인 중 70명이 이때 순교했다. <표 참조
>

박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노론 시파와 벽파 간의 정치적 갈등 때문이었다. 노론 벽파가 당시 권세를 잡고 있으면서 천주교에 우호적이었던 시파인 안동 김씨의 세도를 타파하고 권력을 재창출하기 위해 박해를 일으킨 것이다
.

박해는 1839 418(35) 순원왕후가 내린 '사학토치령'(
邪學討治令)으로 공식화 됐고, 배교자 김순성(일명 김여상)이 등장하면서 더욱 확산됐다. 김순성의 밀고로 조신철(가롤로), 정하상(바오로), 유진길(아우구스티노)과 최양업 신부의 부모인 최경환(프란치스코)과 이성례(마리아) 등이 체포돼 순교했다
.

앵베르 주교와 모방, 샤스탕 신부는 김순성이 갖은 악랄한 수단을 동원해 신자들을 현혹시켜 자신들을 찾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교우들의 재난을 그치게 하기 위해 자수해 순교했다
.

기해박해는 신유박해에 비해 체포된 신자 수는 적으나 그 지역이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전라도 전역으로 확산됐다
.

한국 천주교회는 성직자들을 모두 잃어 침체기로 다시 빠지게 됐고 가난한 서민층이 교회 구성원의 주류가 됐다. 또 조정에서 국경 감시를 강화했고, 신자들은 박해를 피해 깊은 산중으로 피신해 교우촌을 이루거나 신분을 속이며 살아야 했다
.

기해박해는 한국 천주교회의 가장 많은 순교 성인을 탄생시켜 103위 한국 천주교 순교성인 중 선교사 3, 남자 24, 여자 43명 등 총 70명에 이른다
.

병오박해


병오박해

  '
병오박해'는 병오년인 1846 65(512) 김대건(안드레아)신부의 체포를 계기로 시작돼 920일 종결됐다. 병오박해 순교자는 성직자 1, 평신도 8명 등 모두 9. 현석문, 이간난, 김임이, 정철염, 우술임, 임치백, 남경문, 한이영 등 병오박해 순교자들은 모두 김대건 신부와 관련이 있었다
.

박해 여파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기해박해를 경험했던 신자들은 박해 소문을 듣자 대부분 피신했고,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도 잠시 몸을 숨겼다가 몇 달 후 다시 교우촌 순방을 시작했을 정도다
.

병오박해가 이전 박해와 다른 점은 '프랑스 함대'의 출현이다. 김대건 신부와 신자들이 옥에 갇혀있는 동안 중국에 있던 프랑스 함대 사령관 세실 함장이 이끄는 군함 3척이 충청도 외연도에 1846 89일 나타나 조정에 기해박해 때 3명의 프랑스 선교사를 학살한 데 대한 항의 서신을 전했다
.

조정에서는 헌종과 대신들이 95일 묘당회의를, 915일 어전회의를 열어 회신 여부와 김대건 신부의 처형문제를 서로 연관지어 논의했다. 그 결과 헌종은 김 신부와 천주교 신자들은 서양 군대를 불러들인 역적으로 간주해 효수 판결을 내렸다
.

결국 프랑스 함대의 조선 원정은 김 신부와 신자들의 처형만 앞당기는 결과만 낳았다. 하지만 이때 프랑스 함대의 조선 원정이 20년 후 병인박해에 대한 프랑스의 대항으로 강화도를 점령한 병인양요의 서막일 줄은 그 누구도 내다보지 못했다
.


병인박해


병인박해

  1866
(고종3)초에 시작하여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할 때까지 8년간 지속된 병인박해는 한국 천주교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지속됐고 가장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대박해였다. 박해는 10여년간 지속됐는데 크게 △1866년 봄 박해병인양요 이후인 1866년 가을부터 이듬 해까지 계속된 박해덕산 굴총 사건으로 인한 1868년 박해(무진박해) △신미양요로 인한 1871년 이후 박해 등 네 단계로 나누어 진행됐다
.

병인박해의 직접 원인은 위정자들의 '외세를 배척하는 사상' 때문. 1860 10월 영·불 연합군에 의해 북경이 함락되자 조선 위정자들은 프랑스 함대를 비롯한 서양 세력의 침략을 경계했다
.

이러한 위기 속에서 러시아가 남하정책을 펴자 대원군은 남종삼(요한·성인)의 제안으로 프랑스의 힘을 빌려 러시아를 견제하려 했다. 그래서 그는 사람을 내세워 베르뇌 주교에게프랑스가 러시아의 남아를 막아준다면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겠다는 제안을 했다
.

하지만 대원군은 러시아의 월경행위가 잠잠해지고, 반대파들의 정치적 공세가 강화되며, 서양인들이 중국인을 살육하는 만행을 저지르자 마음을 바꿔 '박해령'을 내렸다. 박해가 시작되자 전국 각처 교우촌은 유린됐고 선교사와 신자들이 체포돼 순교했다
.

그 와중에 1866 9월 제너널 셔먼호 사건과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한 '병인양요'가 발생했다. 대원군은프랑스 함대가 양화진(절두산)까지 침입한 것은 천주교 때문이고, 조선의 강토가 서양 오랑캐에 의해 더럽혀졌으니 양화진을 천주교 신자들의 피로 깨끗이 씻어야 한다며 박해를 더욱 강화했다. 그는 천주교 신자들을 매국노로 매도해 처형함으로써 집권의 한 방편을 이용했고, 정당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

박해가 누그러질 줄 모르는 상황에서 1868 5월 독일인 오페르트가 충청도 덕산에 있는 대원군의 부친 남연군 묘를 도굴한 '덕산 굴총 사건'이 터지자 박해는 불더미에 기름을 붇듯 번져갔다. 오페르트 굴총 사건 이후 천주교에 대한 감정이 악화돼 조정에서는 '참수형'을 명했으나 지방에서 천주교 신자를 처형하는데 있어 교수형, 장살, 생매장, 백지사형 등 극형들이 남발했다
.

조선 천주교회는 병인박해로 인해 신유박해, 기해박해 이후 세번째 침체기를 겪었다. 전국의 교우촌은 철저히 유린됐고, 성직자와 교회 지도자들이 순교함으로써 교회를 이끌어갈 사람이 없게 됐다. 조선 천주교회는 그 후 병인박해 이전의 2만여명에 달하던 교세를 회복하는데 20여년이 걸렸다
.

이 기간동안 순교한 신자들은 대략 8000명에서 1만명. 대부분이 무명 순교자들이다. 이들 중 이름을 알 수 있는 24명만이 성인품에 올랐다
.

<
평화신문, 2000 9 24일 연중 제25주일, 595, 리길재 기자>

 


  1. 주문보 신부사건을 통해본 한중관계

    서울대교구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는 신유박해 200주년(2001년)을 앞두고 매달 절두산 순교성지에서 '신유박해 200주년 특강'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6일 일곱 번째로 열린 '주문모 신부 사건을 통해서 본 한중 관계'에 관한 여진천(원주교구 배론성지) 신부의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719
    Read More
  2. 한국 천주교회사 (7)

    103위 순교성인 낳게한 박해시대 상황 - 유학과 상반된 사학으로 배척 ◎ 박해의 배경, 신유박해 박해는 교회를 정화하고 신앙을 담금질하는 '용광로'다. 103위 한국 성인들은 모두 박해로 치명한 순교자들이다. 1784년 조선에 첫 가톨릭 신앙공동체가 탄생한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32
    Read More
  3. 한국 천주교회사 (6)

    9. 흥선 대원군과 병인 박해 (고종3년 1866년) 병인 박해란 고종3년 즉, 1866년에 벌어진 교난을 말하는 것이다. 고종8년인 1871년까지 전후 6개년간의 박해이며 공식적으로 기록된 순교자 수만도 2천여명이나 되며 비공식적으로 살육당한 신자 수까지 합하면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85
    Read More
  4. 한국 천주교회사 (5)

    8. 기해박해 (헌종5년 서기 1839년) ( 1838년부터 1840년까지 3여년에 걸친 박해 ) 1834년 재위 34년 만에 순조가 돌아가시고 불과 8세의 어린 몸으로 왕위에 오른분이 바로 헌종이다. 국왕이 나이가 어려 순조비였던 순원왕후의 수렴정치가 시작되었고, 처참...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99
    Read More
  5. 한국 천주교회사 (4)

    7. 정해교난 (순조27년 서기1827년) 정해교난이란 순조27년 음력 2월부터 5월말까지 전,후 넉달에 걸친 교회박해를 지칭하는 것인데 이 박해는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는 나오지도 않으니, 그만큼 이 박해에 대한 인식이 적고 또 알려져 있지 못한 박해이다. 1...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501
    Read More
  6. 한국 천주교회사 (3)

    6. 신유대박해 (순조1년 서기1801년 - 1802 1년) *** (초대 교회지도자들의 순교) *** 정조가 24년간의 재위끝에 세상을 떠나게 됨으로써 대통을 잇게된 분이 순조였다. 그러나, 그는 열한살의 어린나이어서 궁중에서 가장 어른은 경주 이씨 가문의 김대비가 ...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61
    Read More
  7. 한국 천주교회사 (2)

    4. 신해박해 (정조15년 서기1791년) 한국 천주교회사는 한마디로 박해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박해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말할 수 있겠다. 첫째, 천주교가 제사를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미풍양속을 해치는 그릇된 사교인점. 둘째, 당파 싸움과 연결된 정치...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436
    Read More
  8. 한국 천주교회사 (1)

    1. 이땅에 처음 발을 디딘 신부 1593년 12월 27일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고니시 유키나가(아우구스티노) 거느린 군인들을 위해 파견된 포르투칼인 세스페데스(cespedes) 군종신부 였다. 최초로 이땅에 발을 디딘 신부이나 한국 교회를 위해 남긴것은 하나도 없...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66
    Read More
  9. 한국교회(3)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가난했던 선교사들의 삶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우리나라의 천주교 신자 대부분은 교회 창설 초기부터도 매우 가난한 상황에 처해있었다. 초기교회의 신자들은 “조선이 세계 여러 나라가운데 가장 가난하고, 신자들은 조선...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54
    Read More
  10. 한국교회(2)

    [우리 교회의 초상] 한국 교회사는 한국사의 일부인가 이찬수 한국사적 의미를 읽어낼 수 없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언젠가 한국의 그리스도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문화를 어떻게 보아왔는지, 지난 200여 년간의 역사를 공부하며 정리한 적이 있다. 요지는 가톨...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323
    Read More
  11. 한국교회(1)

    한국 교회사 열두 장면 - 박해시대의 기도문 조광(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일찍이 교부 오리게네스는 기도란 “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여 그분과 대화하고 그분을 바라보는 것”이라 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도 기도는 ‘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2009.04.04 작성자 사목회장 조회수 51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