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 자유게시판 ]
조회 수 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

가을이 왔다. 높고 푸른 하늘에서, 산들산들 불어오는 바람에서, 그리고 시민들의 옷차림에서. 도심의 실개천에도 가을 옷을 갈아입은 갈대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 그렇게 익어가는 가을, 추석 명절의 긴 연휴가 시작되었다.

 

톨스토이의 단편소설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는 인간의 끝없는 욕심이 결국 어떤 비극을 초래하는지를 날카롭게 고발하는 작품이다. 주인공 파훔은 평범한 농부로, 처음에는 가족이 먹고살 만큼의 땅만을 원했지만, 점점 더 많은 땅을 소유하고 싶어 하는 욕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작중에서 그는 좋은 땅을 얻기 위해 마을을 떠나고, 결국 바시키르 족의 땅을 헐값에 얻을 기회를 잡는다.

 

바시키르 족은 특별한 거래 조건을 제시한다. 단 하루 동안, 해가 지기 전까지 자신이 걸어서 표시한 만큼의 땅을 줄 것이며, 단 해가 지기 전까지 돌아오지 못하면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파훔은 가능한 한 많은 땅을 얻기 위해 무리해서 먼 거리를 돌며 표시하지만, 해가 지기 직전에 겨우 출발점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과도한 욕심으로 인한 무리는 그의 생명을 앗아가고, 결국 그는 그 자리에서 죽는다. 소설의 마지막 문장인 사람에게 필요한 땅은 단지 그의 시신을 묻을 만큼의 크기일 뿐이다는 인간의 삶과 욕망에 대한 냉철한 통찰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톨스토이는 인간이 왜 끝없는 욕망에 휘둘리는지를 묻고 있다. 파훔은 처음부터 나쁜 사람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성실하고 근면했으며, 가족을 생각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조금 더 넓은 땅이 있다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단순한 생각이 점점 탐욕으로 변질되면서, 그는 결국 자기 파멸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끊임없이 더 나은 것을 추구한다. 더 좋은 직장, 더 큰 집, 더 많은 재산을 위해 살아간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잃고 있는가? 파훔처럼 건강을 잃고, 인간관계를 잃고, 결국 자신을 잃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소설은 그러한 삶의 방향에 대해 우리 스스로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톨스토이의 문체는 간결하면서도 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작중의 사건은 단순하지만, 그 안에 담긴 상징성과 풍자는 매우 깊다. 특히 파훔이 땅을 표시하며 점점 더 멀리 가는 장면은 인간의 욕심이 얼마나 끝이 없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이미 충분한 땅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만 더라는 생각에 걷고 또 걷는다. 그 끝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원하는 땅이 아니라, 죽음뿐이었다.

 

이 작품을 읽고 난 후, 나 자신에게 묻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가? 지금 내가 추구하는 목표는 정말로 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주는가? 아니면 단지 더 많은 것을 갖기 위한 욕심일 뿐인가? 이 질문에 솔직하게 대답해보려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나는 욕망이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나를 삼킬 수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새삼 얻었다.

 

결국, 톨스토이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에게 진정 필요한 것은 많은 것이 아니라 충분한 것임을 말하고 있다. 인간은 필요한 만큼만 가지면 된다. 오히려 너무 많은 것은 짐이 될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는 더 많은 것을 소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소박한 삶 속에서 진정한 행복과 의미를 찾기 위함이 아닐까?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는 단순한 우화를 넘어, 인간의 본성과 사회의 모습을 꿰뚫는 통찰이 담긴 작품이다. 짧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이 작품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꼭 한번 읽어봐야 할 가치가 있다. 그리고 그 메시지를 마음속에 새긴 채, 우리 삶의 방향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는 독서가 될 것이다.

 

톨스토이 단편 소설을 읽은 후, “나의 인생 후반전은 언제부터였는가? ”라고 자문자답했지요. 모두가 다르겠지만, 저는 지금까지의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결론은 나의 인생 후반부는 오늘, 지금 이 시간 이후라는 것을 새롭게 인식한 것이지요. 70대 중반이 지난 사람이, 지금 이 시간 이후부터가 인생 후반부라고 한다면 의아해 할 수도 있겠지만, 시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행동이 따르는 사고의 전환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누구든지, In put 없이 Out put 만 작동 한다면, 곧 과거의 경험으로 자신의 확신만 쏟아낸다면 그는 전형적인 꼰대의 틀에서 벗어날 수 없겠지요. 새로운 경험과 작은 도전을 통해 체득하는 것이 삶의 지혜이고, 그것을 공유할 수 있을 때 사유의 세계는 신선한 삶으로 이어지지 않을까요.

 

계절의 탓인지 묻득, 오래 전 보았던 두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마지막 장면을 기억하십니까? 노인이 된 라이언이 전우들의 묘지 앞에서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며 이내에게 묻습니다. “... 잘 산 것 같아?”. 국제시장에서 주인공 덕수는 평생을 고생하며 가족을 위해 살다가 늙어 아버지가 입던 옷을 껴안고 중얼거립니다. “아버지, 저 잘 살았지요? 그런데 억수로 힘들었어요. ...” 저에게 이 두 장면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은 모습으로 남았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마지막 순간, 자신의 삶의 돌아보며 자문자답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다 이루었다라고 하신 말씀과는 다르지만...


자유게시판

여기는 누구나 제약없이 자유스럽게 올릴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1. 광란의 시간 속에서, 우리는 하나였다 0

  2.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 0

  3.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 0

  4.  성경 필사, 그 길 위의 순례 0

  5. 6월 마르꼬(장년)회 개최..... 0 file

  6.  구순(九旬)을 맞으신 표종관 요셉 형제님께! 1

  7. 신자들의 도움 pr 2025년도 봄철 야외행사..... 0 file

  8. 신자들의 도움 pr 연극관람... 0 file

  9.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및 주거 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 폐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합시다. 0 file

  10. ‘노인과 바다’ 후기 0

  11. 2025년 12월 마르꼬회 개최..... 0 file

  12. 2024년 마르꼬회 가을야외행사(10,12). 0 file

  13. 영화 ’Sound of Music’의 추억-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성 미카엘 성당, 할슈타트 0 file

  14. 8월 마르꼬회 월례회 개최.... 0 file

  15. 마르꼬회 2024년 춘계야외행사 개최..... 0 file

  16. 오스트리아 비엔나(Republic of Austria,Vienna) 0 file

  17. 12월 마르꼬회 개최.... 0 file

  18. 칠곡 다부동에서 김천 직지사까지 1 file

  19. 성모 발현지 - 파티마의 추억 0 file

  20. 5월 마르꼬회 개최..... 0 file

  21. 3월 마르꼬(장년회)개최후 2차주회실시..... 0 file

  22. 십자가의 길 15처 0

  23.    '하얼빈’에서 만난 대한제국의 ‘영웅’ 0

  24. 마르꼬회(장년회) 2월 월례회개최.... 0 file

  25. 2022년 12월 마르꼬회 정기총회및 년말모임.... 0 file

  26. 2022년 마르꼬회 추계야외행사 실시.... 0 file

  27. 터키 - 이스탄불 순례(1) - 소피아 대성당, 하드포럼, 블루 모스크 0 file

  28. 터키 - 이스탄불 순례(2) - 코라 구세주 성당, 보스포루스 해협 0 file

  29. 터키 - 이스탄불 순례(3) -톱카프 궁전, ‘예레바탄’ 지하 저수지 0 file

  30. 9월 마르꼬회 모임 후 회합모임~^O^~ 0 file

  31. 터키 - 에페소 순례(2), 성모마리아 집, 사도 요한 기념성당 0 file

  32. 터키 - 에페소 순례(1), 고대 로마 유적지, 성모 기념성당 1 file

  33. 7월3일(주일) 마르꼬회 개최 후 식사...... 0 file

  34. 터키 - 요한 묵시록의 '필라델피아, 사르디스, 티아티라, 페르가몬' 교회 0 file

  35. 내원사 계곡에서 0

  36. 덕산동 성당 5월 마르꼬회 개최...... 0 file

  37. 6,25당시 전쟁터에서 군종신부의 미사집전 모습.... 0

  38. 프랑스 파리 - 대 참사 이전,ㆍ이후ㆍ 노트르담 대성당 0 file

  39. 터키 - 요한 묵시록의 ‘라오디케이아 교회’와 '히에라폴리스' 0 file

  40. 2021년을 보내면서 12월 마지막 마르꼬회 개최.... 0 file

  41. 2021년 대림시기 굿뉴스 모바일 복음쓰기 0 file

  42. 터키 - 신약 성경의 '이코니온',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 순례 0 file

  43. 터키 - 카파도키아 순례 0 file

  44. 터키 - 사도 바오로의 고향, '타르수스' 순례 0 file

  45. 절벽 위 '공중수도원'.. 신앙은, 이렇듯 숭고하다...... 0

  46. 기도를 증진시키는 수련 0

  47. 봉쇄 수도원 카르투시오 공동체를 위한 기도문 0 file

  48. 봉쇄 수도원 카르투시오와 함께 하는 9일 간의 랜선피정 0 file

  49. 진해 카리타스 10월 봉사 0 file

  50. 축복식[더원 재가노인복지 센터] 0 file

  51. 본당 대항 모바일 복음 쓰기 이벤트에 참가합시다. 0 file

  52. 진해카리타스 5월 봉사 0 file

  53. 마산교구 부활 제3주일 미사 0 file

  54. 마산교구 공동체 미사 재개 0 file

  55. 부활 제2주일 미사 0 file

  56.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미사 0 file

  57. 진해 카르타스 봉사단 현황 0 file

  58. 교황청 [담화] 제35차 세계 젊은이의 날 교황 담화 0

  59. 마산교구 [공동체 미사 재개일 연기], [2020년 파스카 성삼일 지침], [본당 감염병 예방 수칙] 0 file

  60. 사순 제5주일 미사 0

  61. 사순 제4주일 주일미사 0

  62. 마산교구 [미사 재개, 미사 영상, 부활 판공] 0 file

  63. 교구 사순 제3주일 미사 0 file

  64. 진주 신안동 성당 사순 제2주일 미사 0

  65. 마산교구 "미사 및 모임 중단 연기" 0 file

  66. 진해 카리타스 봉사단 `20년 2월 활동 0 file

  67. 마산교구 사순 제1주일 미사 0 file

  68. 남아가다 수녀 축일 피로연 0 file

  69. 조명래 안드레아 주임신부 환영 피로연 0 file

  70. 최봉원 야고보 주임신부 환송 피로연 0 file

  71. 진해 카르타스 봉사단 12월 활동 0 file

  72. 성탄 맞이 대청소 0 file

  73. 문홍근 디모테오 마산교구 제25기 신앙대학 졸업 0 file

  74. 진해 카르타스 봉사단 표창장 수여 0 file

  75. 크리스마스 트리 작업 0 file

  76. 교구홈페이지 덕산성당 성령묵상회 0 file

  77. 여성복사단 성지순례 0 file

  78. 진해 카리타스 11월 봉사 0 file

  79. 울뜨레아 최우수 수상 0 file

  80. 진해 카리타스 11월 활동 0 file

  81. 구역분과 피정[운산공소] 0 file

  82. [밀알성물회] 피정 0 file

  83. 진해지역 성령 은혜의 밤 0 file

  84. 동유럽 성지 순례를 마치고 1

  85. 동유럽 성지순례 0 file

  86. 체코 프라하 성, 성 비투스 대성당, 카를교, 체스키크룸로프 역사지구 순례 0 file

  87. 진해 까르타스 10월 활동 0 file

  88. '분노의 포도' 1 file

  89. 홍보분과 2019년 감사 수검을 마치고 2 file

  90. 성가단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1 file

  91. 마산교구보 '가톨릭마산'에 실린 본당주임신부의 강론 0 file

  92. 본당 교우들에게 드리는 글 2 file

  93. 김미지 이레네 자매님 사진전 0 file

  94. 세 번째 맞는 십자가의 길 0 file

  95. 두 번째로 맞는 십자가의 길. 0 file

  96. 해군사관생도 73기 졸업 및 임관 축하 미사 0 file

  97. 역사 인물 공원 0 file

  98. 마산교구 3번째 100주년 함양성당 0 file

  99. 최봉원 주임신부 함양 운산공소 미사 [2019. 2. 16(토)] 0 file

  100. 마산교구 홈페이지에 실린 '덕산동본당 사목협의회 위원 연수' 0 file

  101. 김수환 추기경 선종 10주기 책 『저 산 너머』 0 file

  102. 신앙대학 26기 입학식(2019년) 0 file

  103. 본당 주차장 주차선 정비 0 file

  104. 함양 운산공소 미사 0 file

  105. [ 한사람의생명 ]관련하여, 함께 기도바랍니다 . . 0 file

  106. 교구 홈페이지에 실린 본당 연차 총친목회 내용 0 file

  107. 제3회 전례 꽃꽂이 전시회 0 file

  108. 산청 국립호국원 다녀왔습니다. 0 file

  109. 제4회 파티마 성경학교 성극대회 0 file

  110. 2018년도 안보특별 종교강연회 (2018년 11월 6일) 0 file

  111. 이태리, 수비아코(Subiaco) 베네딕도 수도원 0 file

  112. 이태리, 오르비에토 대성당 0 file

  113. 성 베네딕도 수녀회의 총원장으로 선출된 서준석 마오로 수녀님 0 file

  114. 2018년 어르신 한마당놀이 0 file

  115. 파티마 성모 발현 101주년 기념 및 세계평화와 한반도 평화통일 기원미사 0 file

  116. 10여년전 마르꼬회원 등산및 야외행사 모습 ... 2 file

  117. 친절과 배려가 가져다 준 행운 -천섬 (Thousand Islands) 유람선 투어 1 file

  118. 성 베드로 대성당 0 file

  119. 로마 바티칸 박물관 1 file

  120. 프란치스코의 작은 나무 - 성녀 클라라 0 file

  121. "베드로의 눈물" - 고(故) 최인호(베드로) 1 file

  122. 연령회원 부산 나들이 0 file

  123. 성모 울타리 공동체 0 file

  124. 문학 기행 - 돈키호테(Don Quixote)를 만나다. 0 file

  125. 아시시 순례(1) – ‘천사들의 성모마리아 대성당’ 0 file

  126. 아시시 순례(2) - 산타 키아라(클라라) 성당(Basilica di Santa Chiara) 0 file

  127. 아시시 순례(3) -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Basilica di San Francesco) 0 file

  128. 중앙성당 바자회 0 file

  129. 추석맞이 어려운 이웃돕기 0 file

  130. 국채보상 운동 2 file

  131. 이스라엘 성지순례 - 베드로 수위권 성당, 오병이어 성당, 참 행복 선언 성당 0 file

  132. 이스라엘 성지순례 - 단, 카이사리아 필리피, 코라진, 카파르나움 0 file

  133. 이스라엘 성지순례 - 나자렛 주님 탄생 예고 성당, 성가족 성당, 카나의 혼인잔치 기념 성당. 0 file

  134. 수녀님과 함께 0 file

  135. 캐나다 몬트리올 성요셉 성당, 나이아가라 폭포 0 file

  136. 요르단 성지순례(1) - 느보산 모세 기념성당, 메드바 ‘성 게오르기오’(성 죠지)성당, 모세의 샘(와디무사) 0 file

  137. 요르단 성지순례(2) - 불가사의의 페트라 유적지, 세례자 요한 순교지(마케루스 요새) 0 file

  138. 산티아고 순례길 이야기 - 영화 '더 웨이(The Way) 0 file

  139. 망자의 길, 남은 자의 기도  0 file

  140. 포르투갈 성지순례 - 파티마 성모발현 성지, 포르투 0 file

  141. 포르투갈 성지순례 - 제로니무스 수도원과 벨렘 역사지구 0 file

  142. 스페인 성지순례 - 스페인 신앙의 수도 톨레도 대성당, 산토 토메 성당. 0 file

  143. 스페인 성지순례 - 바르셀로나 성가족 성당 0 file

  144. 스페인 성지순례 - 검은 성모상과 함께한 몬세라트 수도원 0 file

  145. 스페인 성지순례 - 세계에서 가장 큰 '고딕양식'의 세비야 대성당 1 file

  146. 교구 성경공부반 0 file

  147. 스페인 성지순례 - '부르고스 대성당' 1 file

  148. 스페인 성지순례 - 순례길의 종착지 ‘산티아고 대성당’ 0 file

  149. 1. '카타리나 팀' 이스라엘 성지순례기 0 file

  150. 2. '카타리나 팀' 이탈리아 성지순례기 0 file

  151. 기행문 - 화가들의 고향, 남 프랑스 (프로방스) 0 file

  152. 영화 감상문 0 file

  153. 순교복자 5위 탄생 경축대회 0 file

  154. 바위섬 전체가 수도원인 프랑스 몽생미셸 수도원 0 file

  155. 독일 쾰른 대성당 0 file

  156. 이별은 그리움을 만들고..... 0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