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틴다는 것은, 이해하려는 용기'
산란한 마음의 너울을 벗지 못한 채 천자암을 오르내린다.
유월의 검붉은 덩굴장미는 수줍은 새색시처럼 조심스럽게 다가와 귓속말로 전한다.
"가시에 찔렸다고 그 가시로 다시 찌르면, 나는 연두 빛 잎을 피울 수 없답니다."
쪽빛 녹음이 우거진 ‘천자암’ 가는 길,
대지는 향기롭고, 하늘엔 뭉게구름이 춤사위를 이룬다.
어디선가 들려오는 이름 모를 산새들의 합창은,
고운님 창가에서 애타게 부르는 사랑의 세레나데가 되어,
혼돈의 내 가슴을 조용히 파고들었다.
천자암을 목전에 두고 가파른 경사를 헉헉대며 오르는데,
스님의 불경 소리는 목탁과 이중주를 이루며 귓가에 맴돌았지만,
미물에 불과한 나로서는 그 깊은 말씀을 헤아릴 수 없었다.
불상을 등지고 고개를 들어 바라본 속천만의 풍경은 아득히 먼 옛 시절,
어머니의 젖가슴 같아 포근하고 아늑하게 다가왔다.
바람 한 점 없는 고요한 바다 위,
긴 여정을 마치고 안식을 누리는 크고 작은
배들의 모습은 그 자체로 한 폭의 그림이었다.
광석골 연못 데크로드에 몸을 기대어, 천자봉에서 굽이진 능선과
연못에 비친 풍경을 번갈아 바라보던 순간, 뻐꾹새는 슬픔을 토하듯 구슬프게 울었다.
청보리가 익어가는 이맘때면, 내 고향 동산에서도
그렇게 울던 뻐꾹새 소리가 빛바랜 흑백사진처럼 뇌리를 스쳤다.
그 순간, 어머니가 그리워 애달픈 마음에 눈가에 이슬방울이 맺혔다.
나는 지금 '버티기'라는 상황 안에서 자아와 함께 깊은 고뇌를 마주하고 있다.
사람들은 종종 '버틴다'는 말을 굴욕적이라거나, 왜 그렇게까지 살아야 하는가 폄하하곤 한다.
하지만 버틴다는 것은 결코 수동적인 인내가 아니다.
그저 시간이 지나가기만을 기다리는 무력한 상태도 아니다.
버틴다는 것은 내면의 분노와 모멸감, 부당함을 스스로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
외부의 기대에 나를 맞추면서도 자신을 잃지 않는 치열하고 역동적인 과정이다.
'버틴다'는 것을 기다림이다.
무의미한 정체(停滯)가 아니라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현재를 참아내는 시간이라고.
그 인고의 시간은 누구도 쉽게 말할 수 없는 결실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는다.
오늘처럼 천자암을 오르내리는 날이면, 일필휘지로 삼류소설 한 권쯤은
거뜬히 써낼 수 있을 것 같다. 자아와 충돌했던 고뇌, 헝클어진 분노와 자책의 감정이,
조금씩 흩날리며 내 안에서 하나의 서사(敍事)로 정리되고 있다.
그래서 나는 되뇌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그런 나날 중 , 괴로움과 혼란속에서 지인에게 '공자와 안회' 일화를 말했다.
사실, 그때 나는 괴로운 마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공자와 제자들이 노나라를 떠나 진나라로 향하던 중, 식량이 떨어져
매우 곤궁한 상황에 놓였다. 며칠 동안 굶주린 가운데,
제자 안회가 어렵게 쌀을 구해와 밥을 짓게 되었다.
공자는 방 안에서 쉬고 있었는데, 문틈으로 안회가 밥을
짓다 말고 혼자 밥을 집어 먹는 장면을 보게 된다.
공자는 마음속으로 실망하여 생각한다. '그토록 어질다고
생각했던 수제자 안회도 굶주름 앞에서는 어쩔 수 없구나...'
잠시 후, 밥이 완성되자 안회가 스승 공자에게 밥을 올리며 말하였다.
"방금 지은 밥에 티끌이 떨어져 손으로 털다 보니 더러워졌습니다.
스승님께서 드시기에 꺼림직하여 제가 미리 먹었습니다. 이미 입에 댄 것이기에
공자님께는 올릸 수 없어 그 부분을 제가 먹었습니다."
이를 들은 공자는 깊이 부끄러하며 말한다.
"나는 내 눈으로 본 것을 믿었고, 내 마음으로 판단했으며, 내 귀로 들은 것을 믿었다.
그라나 내 눈도, 귀도, 마음도 믿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선종하신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뒷담화만 하지 않아도
우리 시대의 성인입니다." 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다.
공자와 안회의 일화,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씀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그 어떤 상황도, 그 어떤 판단도, 진실을 알기 전에는 말할 수 없다.
진실이 필요하다면 당사자에게 묻고, 확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너무 쉽게, 누군가의 삶 위에 잘못된 그림자를 드리우게 된다.
천자암을 오르며 느낀 자연의 고요와 '공자와 안회' 이야기에서 얻은 통찰은
내 삶 속 고통과 혼란을 조금씩 정리해 주는 서사로 이어졌다.
버틴다는 것, 그것은 결국, 나를 지키고 타인을 오해하지 않으려는 성찰의 시간이다.
-2024,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