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조회 수 4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례의 중심, 미사] 있는 듯 없는 듯한 해설자

 

 

지난달부터 미사 전례 봉사자의 임무와 자세를 살펴보면서 먼저 ‘독서자’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두 번째인 이번 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봉사자는 ‘해설자’입니다.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미사는 천주교 신자들이 하느님께 바치는 공적 예배입니다. 이 미사를 주재하는 사람은 사제입니다. 사제는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하느님께 거룩한 제사를 올립니다. 이에 비해 해설자는 미사의 의미를 더욱 드러나게 하는 안내자입니다. 다시 말해, 해설자는 신자들에게 미사 참여의 정신을 일깨워주는 가운데 그날 미사의 의미와 깊이를 더 잘 깨닫게 도와주는 일을 합니다.

 

해설자의 이러한 임무는 무척 중요하지만 그의 존재가 지나치게 드러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됩니다. 한마디로, 해설자가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해설을 적당히 해도 상관없다는 게 아닙니다. 해설자가 서툴면 전례 분위기가 흐트러집니다. 또한 해설이 너무 수다스럽거나 장황해도 미사의 중심을 잃어버리게 하고 사제나 신자들에게 분심을 줄 수 있습니다.

 

“해설자는 필요에 따라 해설과 권고를 하여 신자들이 전례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어주며, 거행의 내용을 잘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해설자의 설명은 미리 신중하게 준비해야 하고 간단명료해야 한다. 해설자는 신자들에게 잘 보이는 알맞은 자리에서 자기 임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독서대에서는 하지 않는다”(「미사 경본 총지침」, 105항).

 

 

옷차림에서부터 필요한 준비

 

해설자는 신자 공동체 앞에서 미사 전례를 소개하고 인도하므로 모든 사람의 시선을 받습니다. 신자들은 해설자의 모든 것을 눈여겨 보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설자는 독서자나 복사 등 다른 봉사자들과 마찬가지로 세심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해설자의 옷차림은 사복보다는 장백의나 중백의 같은 예복을 입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해설자의 이러한 옷차림을 통해서도 사제나 복사와 마찬가지로, 미사 전례의 보편성과 공공성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설자는 복장으로 전례를 돕는다.’는 말이 있듯이, 해설자의 옷차림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해설자의 모든 행위는 인간의 원의를 대독하며 공동체 전체의 마음을 모아 한뜻이 되도록 하는데 그 뜻이 있습니다. 그러려면 자연스럽지 않은 행동을 삼가야 합니다. 거친 숨소리나 헛기침, 불필요한 손짓이나 몸짓 등이 이에 포함될 것입니다. 신자들에게 불안감이나 분심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책 읽듯이 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발음이 정확한 가운데 음정이 고르도록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질문 하나 : “해설이 꼭 필요하나요?”

 

‘해설이 오히려 미사의 경건함을 방해하기도 하는데 꼭 해야하나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펴낸 「미사 경본 총지침」, 「미사 전례」 등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해설은 미사의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미사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한 것입니다. 앞의 인용구에서도 말하듯이, 해설은 신자들이 미사의 진행순서에 따라 잘 참여하고, 그날 미사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주려는 것입니다. 미사, 특히 주일과 대축일 등의 미사 때에 적절한 해설은 권장됩니다. 아무리 준비를 잘한 해설이라 할지라도 그 내용에 대한 주례사제의 검토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해설할 때 특히 유의할 점은 침묵해야 할 부분에서 마음을 모으는데 방해가 되는 온갖 형태의 조급함을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미사 중의 침묵은 흐트러진 내면을 바로 잡아 하느님 안에 머물 수 있게 도와주는, 미사 봉헌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경향잡지, 2016년 9월호, 김진복 필립보(경향잡지 편집장)]


  1. 한가위 추석 명절 미사

  2. 하루 영성체 횟수

  3. 하느님의 입이 되어야 하는 독서자

  4. 하느님의 어린양 file

  5. 하느님 말씀에 응답하는 교회 공동체

  6. 평화의 인사

  7. 판공성사 이야기

  8. 파스카 성삼일

  9. 캔들마스를 아시나요?(주님 봉헌 축일)

  10. 첫영성체는 몇 살부터? 신자들도 성혈과 성체를 함께 모실 수 있나?

  11.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1월 1일)

  12. 주님의 기도 file

  13. 주님, (아무)를 생각하소서!(전구)

  14. 주님 수난 성 금요일 file

  15. 주님 수난 성 금요일 file

  16. 주님 봉헌 축일 file

  17. 주님 만찬 성 목요일 file

  18. 주님 만찬 성 목요일 file

  19. 제의에 사용하는 여러 색깔의 의미

  20. 제물 봉헌

  21. 제대와 감실의 관계

  22. 제대, 그리스도 상징하는 성당의 중심

  23. 제대 준비와 장식

  24. 제대 위의 십자고상과 초

  25. 제단의 봉사자 - 복사

  26. 전례상식 - 주일의 의미

  27. 전례상식 - 주일에 임하는 자세

  28. 전례부 교육 file

  29. 재의 수요일 file

  30. 자신의 몸과 피를 봉헌하신 그리스도

  31. 자비송 file

  32. 있는 듯 없는 듯한 해설자

  33. 입당 행렬과 입당 성가

  34. 일요일(日曜日)? 주일(主日)?

  35. 예수 부활 대축일 file

  36. 예수 부활 대축일 file

  37. 예물 행렬과 성가

  38. 예물 준비 예식의 동작과 기도들

  39. 예물 준비

  40. 영성체 후 묵상 file

  41. 영성체 예식, 주님의 기도

  42. 엠마오의 두 제자와 성찬례, “받아먹어라.”

  43. 알렐루야

  44. 알렐루야 file

  45. 신자들의 예물봉헌

  46. 신앙 고백

  47. 손 영성체와 입 영성체

  48. 성탄의 기원과 의미

  49. 성체의 소중함을 보여준 사제

  50. 성찬 제정과 축성(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51. 성찬 전례 때 복사가 종을 치는 것의 의미와 유래, 복사의 유래와 의미

  52. 성전에서 지켜야 할 예절

  53. 성수는 마셔도 되나요?

  54. 성모상 앞에서 절하면 우상 숭배인가요?

  55. 성당에 들어설 때 지켜야 할 예절

  56. 성 주간의 전례

  57. 사순시기 전례와 신앙생활 file

  58. 사순시기 단식

  59. 사순 시기의 의미와 전례

  60. 빵과 포도주를 들고 바치는 기도

  61. 빵과 포도주 - 성찬례의 재료

  62. 빵 나눔 예식

  63. 부활절 영세식 사진 file

  64. 부활성야 2 file

  65. 부활성야 file

  66. 부활성야 file

  67. 부활 성야 및 영세식 file

  68. 미사의 동작들에 숨어있는 의미

  69. 미사와 신자생활

  70. 미사보를 쓰지 않으면 영성체를 못하나요?

  71. 미사보(미사수건)

  72. 미사는 신부님만 정성껏 드리면 되는 것 아닌가요?

  73. 미사 중에 지켜야 할 예절

  74. 미사 중에 왜 자주 일어났다 앉았다 하나요?

  75. 미사 전례에 관한 궁금증 몇 가지

  76. 미사 전례를 풍성하게 하는 성가대

  77. 미사 때 향과 촛불의 의미

  78. 미사 때 ‘제병과 포도주’ 대신 ‘떡과 막걸리’를 쓸 수 있나요?

  79. 미사 독서의 실제 지침과 방법

  80. 묵주기도(로사리오) 성월을 맞아

  81. 모든 영예와 영광이 하느님 아버지께(마침 영광송)

  82. 매주 참례하는 미사, 얼마나 알고 계세요?

  83. 마침 예식

  84. 따분한 전례? 따분한 내 인생?

  85. 대영광송

  86. 대영광송 file

  87. 대부(代父), 대모(代母)는 무엇하는 사람인가요?

  88. 대림시기 의미와 전례

  89. 대림 시기에 만나는 인물들: 이사야 · 요한 세례자 · 마리아 file

  90. 네 형제를 어떻게 하였느냐?

  91. 넉넉한 축복에 감사드림, 한가위 추석 명절 미사

  92. 기본적인 의무인 주일미사를 지키지 못한 경우

  93. 기념(아남네시스)

  94. 기념 환호

  95. 국악 율동 미사 -소고춤 file

  96. 구원의 보증인 성사(聖事)

  97. 공복재는 무엇인가요?

  98. 거룩하시도다 file

  99. 개신교, 무엇이 다른가요?

  100. 감실은 왜 존재하나요?

  101. 감사기도의 시작 대화

  102. 감사 기도

  103. [전례] 장례미사를 못 하는 날도 있나요?

  104. [전례] 신학 산책22: 대축일, 축일, 기념일이 뭔가요?

  105. [전례] 새 로마 미사 경본(한국어판) 살펴보기

  106. [전례]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Et cum spiritu tuo)

  107. [전례] 거룩한 침묵

  108. [어린이 복사단] 입단식 file

  109. [성인복사단]성지 순례 file

  110. [사순부활] 재의 수요일부터 시작되는 사순 시기, 전례 의미를 알아보자

  111. [미사] 영성체 예식

  112. [미사] 교중미사의 중요성에 대해

  113. [대림성탄] 신경에서 드러나는 성탄의 의미

  114. TV 미사 참례, 수많은 의문과 몇 가지 제안

  115. 2017년 주님 수난 성지주일 file

  116. 2016년 주님 수난 성지 주일 file

  117. 2013년 영세식 file

  118. 2009년 첫 영성체 file

  119. * 미사 참례 시 유의 사항

  120. '본당(本堂)', '성당(聖堂)'의 차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