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여 잘 있어라 

by 김종복(요셉) posted Oct 10,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헤밍웨이 - 무기여 잘 있어라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로 작가로서 명성을 얻은 헤밍웨이는 두 번째 장편소설 무기여 잘 있어라.’를 출간함으로써 소설가로서 입지를 굳게 다졌다. 미국 문단은 말할 것도 없고 세계 문단에서 명성을 떨치게 된 것이다. 덥수룩한 수염에 술잔을 들고 있는 모습은 그의 상징이 되다시피 했다. 헤밍웨이가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9 ()에 걸쳐 집필한 것과 달리 무기에 잘 있어라.’는 무려 6 개월이나 걸렸다고 한다. 이 작품의 초판이 3만 부 이상 팔리고 4개월이 지나자 8만 부 이상 팔려 나갔는데, 이로서 헤밍웨이는 예술적으로뿐 아니라 재정적으로도 독립을 선언할 수 있었다는 것들도 모두 책을 읽은 후 알게 되었다.

 

헤밍웨이는 열아홉 살의 젊은 나이로1차 세계대전에 참가해 이탈리아 전선에서 중상을 입어 밀라노에 후송되어 그곳 육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그는 이 병원에서 여섯 살 많은 미국인 간호장교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이 미모의 여성과 결혼할 계획이었지만, 막상 그가 미국의 고향으로 돌아와 휴양하는 동안 그녀는 이탈리아 장교와 결혼해 버린다. 헤밍웨이는 그녀와의 첫사랑의 시련은 참으로 견디기 힘들어했다고 한다. 그 뒤 몇 년의 세월이 흐르도록 그는 실연(失戀)의 상처를 씻지 못하고 마음의 평정도 찾지 못한 채 파리로 이주해 작가로서 길을 모색한다. 그런 얼마 후, 헤밍웨이는 밀라노 육군 병원에서 간호장교한테서 실연당한 이야기와 이탈리아 전선에서 겪었던 온갖 고통스러운 뼈저린 경험을 소설 형식으로 원고지에 옮기기 시작한 것이 그의 대표 작중의 하나인 무기여 잘 있어라.’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무려 십 년이 지난 뒤 출간된 무기여 잘 있어라.’는 전쟁 중 이탈리아 전선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대강(大綱)의 이야기는 이렇다.주인공 프레더릭 헨리는 이탈리아 전선에서 엠블런스 부대원으로 근무하는 미국인 장교(중위)로 우연히 스코틀랜드 출신의 간호사 캐서린 바클리를 만난다. 그녀와의 관계는 일종의 게임처럼 시작되었지만 그가 부상을 입고 후방 병원에 입원하고 난 뒤부터 매우 진지하게 변한다. 그 뒤 헨리는 임신한 캐서린을 병원에 남겨 둔 채 다시 전선으로 떠난다. 자신의 부대와 연락이 끊긴 채 퇴각 중이던 그는 이탈리아 야전 헌병에게 검문을 받고 탈영 혐의로 총살당하기 직전 탈리아멘토 강물 속으로 뛰어들어 그야말로 구사일생(九死一生)으로 목숨을 건진다. 우여곡절(迂餘曲折) 끝에 캐서린과 다시 만난 그는 이탈리아 국경을 넘어 중립국 스위스로 피신해 그곳에서 캐서린의 출산일을 기다리며 잠시나마 목가적(牧歌的인 생활을 즐긴다. 그러나 그녀는 분만하던 중 끝내 사망하고 프레더릭 헨리는 먼 이국땅에 홀로 남게 된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이 두 가문의 불화와 갈등 때문이라면, 헤밍웨이의 작품에서는 생물학적 우연이나 우주의 질서가 주인공을 파멸로 몰아넣는다는 점이 다르다. 어찌 되었든 두 작품에서 주인공들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상관없이 초월적(超越的) 힘에 의해 비극을 맞는다.’

 

이 작품은 단순한 반전(反戰) 소설이나 애정 소설의 차원을 뛰어넘는다.

다시 말해 주인공이 온갖 고통과 좌절을 겪으면서 삶에 대한 지식이나 통찰을 조금씩 터득해 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작품이 시작될 무렵, 화자(話者)이자 주인공 프레더릭 헨리는 삶에 대해 거의 무지한 상태에 있었다. 그러다가 마치 병아리가 달걀을 깨고 나오듯 그는 점차 무지의 벽을 깨뜨리고 인식(認識)의 단계에 이른다. 소설 첫머리에서 헤밍웨이는 프레더릭의 입을 빌려 군종신부를 두고 이렇게 말한다. ‘그는 내가 모르는 것, 일단 배워도 늘 잊어버리는 것을 언제나 알고 있다. 나는 나중에 그것을 깨달았지만 그때는 그것을 알지 못했다.’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알고 있었다.’나중에그리고 그때라는 세 낱말이다. 주인공은 그때는 미처 몰랐지만 나중에 그 무엇인가를 알게 되었다고 밝힌다. 주인공이 전쟁 중 온갖 일을 겪으면서, 자신은 몰랐지만 군종신부는 이미 알고 있던 바로 그것을 조금씩 배워 나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소설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요약한다면, 주인공 프레더릭 헨리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 홀로 이탈리아에서 유학하며 건축학을 공부하고 있었고, 전쟁이 일어나자 뚜렷한 이유도 없이 이탈리아군에 입대했다. 이 무렵 그는 음주와 섹스 말고는 존재 이유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삶의 방향 감각을 상실한 채 비현실적이고 어떤 일에도 개의치 않는 삶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프레더릭에게 잃어버린 자아를 되찾고 삶에 대한 새로운 통찰과 인식을 얻게 해 준 것이 바로 캐서린 바클리와의 사랑이다. 그녀는 그를 이 세상에 새롭게 태어나도록 돕는 신()과 같은 역할을 한다. 프레더릭은 처음 그녀를 만날 때 장교 위안소로 매춘부를 찾아가는 것보다도 그녀를 만나는 게 조금 낫다고 솔직히 털어놓는다. 그러나 그녀를 계속 만나면서 그는 점차 사랑의 의미를 깊이 깨닫는다. 작품의 후반부에 이르러 그레피백작이 당구를 치며 그에게 자네가 삶에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건 뭔가?’라고 묻자 프레더릭은 서슴지 않고 제가 사랑하는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한다. 작품 첫머리에서 군종신부에게 저는 사랑을 하지 않습니다.”라고 고백한 것과 비교해 보면 엄청난 변화다. 이렇듯 프레더릭은 캐서린과의 사랑을 통해 남녀 사이의 사랑이 인간의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닫는다. 두 사람의 사랑은 단순한 육체적 관계를 넘어 인간과 인간 사이의 정신적 교감이나 교섭에 대한 은유(隱喩)로 볼 수 있다. 비록 주인공은 그리스도교를 믿지 않지만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시기하지 않으며, 뽐내지도 않으며, 교만하지 않다.’(1코린 13,4)는 사랑의 복음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몸소 실천에 옮기는 듯하다.

 

인간의 사유(思惟)를 별로 믿지 않는 프레더릭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것에 적잖이 메스꺼움을 느낀다. 도살장처럼 살육과 폭력이 난무하는 전쟁을 불러일으킨 장본인들이 다름 아닌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것을 중시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에게 서구 문명의 주춧돌이라고 할 전통적인 기독교도 한낱 추상적 개념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기독교의 신보다는 차라리 이교도의 바쿠스 신을 믿는다고 밝힌다. 시쳇말로 주()님을 믿는 것이다. 그럼에도 무기여 잘 있어라.’에서 프레더릭 헨리가 피비린내 나는 전쟁터와 캐서린과의 사랑을 통해 깨닫는 것은 무엇보다 인간 조건에 대한 깊은 이해이다. 캐서린의 죽음을 통해 그는 모든 인간은 결국 죽음이라는 생리학적 덫에 거려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제왕절개 수술 뒤 출혈이 멈추지 않아 죽어가는 그녀를 생각하며 그는 인간 조건을 뼈저리게 느낀다. ‘이제 캐서린은 죽겠지. 내가 바로 그렇게 만든 거야. 인간은 죽는다. 그것이 무엇인지 몰랐어. 그것에 대해 배울 시간이 없었던 거야. 경기장에 던져 놓은 뒤 몇 가지 규칙을 알려 주고는 베이스를 벗어나는 순간 공을 던져 잡아 버리거든. 그것만은 분명해. 결국 살아남는다 해도 종국에는 죽임을 당하는 거야.’

 

프레더릭 헨리는 부상 치료와 요양 휴가가 끝나는 대로 다시 전선으로 복귀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이때 캐서린 바클리는 그에게 임신 3개월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린다. 그동안 목가적인 생활을 해 온 두 사람에게 비극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한다. 한 사람은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전선으로 떠나고, 다른 사람은 미혼모로서 온갖 일을 혼자 감당해야 한다. 두 사람은 한동안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잠자코 있다. 그러다가 마침내 캐서린이 한 손을 뻗어 프레더릭의 손을 잡으며 이렇게 말한다. “화나지 않았죠, 자기?” “그럼.”“덫에 걸린 듯한 느낌이 들지는 않나요?”, “약간은 그렇지도 모르지. 하지만 당신 때문은 아냐.”“ 나 때문이라고 하지 않았어요. 바보같이 굴지 마세요. 어쨌든 덫에 걸린 기분이 드느냐는 거죠?”“인간이라면 언제나 생리적으로 덫에 걸려 있다는 느낌이 들지.”이 문장에서 그가 말한 생리적인 덫이란 바로 인간이라면 숙명처럼 걸머지고 있는 죽음을 가리킨다. 죽음이라는 생리적 덫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삶이란 것도 따지고 보면 생리적 덫에서 살아가는 것임을 헤밍웨이는 주인공의 대화를 통해 알리고 있는 것이다.

 

헤밍웨이가 부기여 잘 있어라.’를 쓰면서 가장 고심한 부분이 캐서린 바클리가 분만 중 사망하는 장면이라는 것은 완독 후 알게 되었다. 그는 마지막 교정 원고를 출판사로 보내기 전까지 이 장면을 무려 열일곱 번에 걸쳐 썼다는 것이다. 캐서린을 살리려다가 죽이고, 죽였다가 다시 살리는 과정을 수없이 거듭하다가 결국 출혈이 멈추지 않아 그녀가 죽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무렵 그의 아버지가 시카고 근교에서 권총으로 자살했다는 사실도 그가 캐서린을 사망하게 만드는 데 한몫했다는 설도 있다. ‘무기여 잘 있어라.’마지막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을 만하다. 프레더릭 헨리는 캐서린이 사망하고 난 뒤 병실에 있는 두 간호사를 모두 내보낸 채 혼자서 그녀와 함께 있고 싶어 한다. 이 장면에서 헤밍웨이는그러나 간호사들을 내보내고 문을 닫고 전등을 꺼도 소용이 없었다. 마치 조상(彫像)에게 마지막 작별 인사를 하는 것 같았다. 잠시 뒤 나는 병실 밖으로 나와 병원을 뒤로 한 채 비를 맞으며 호텔을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로 끝을 맺는다.

 

프레더릭 헨리와 캐서린이 이탈리아를 탈출하여 목가적 생활을 하던 곳이 스위스의 몽트뢰의 산속 마을이라면 캐서린이 사망한 병원이 있는 곳은 평지에 위치한 로잔이다. 몽트뢰의 구팅겐 부부의 농가에는 눈이 내린다면 이곳 로잔에서는 주룩주룩 비라 내린다. 주인공은 잠시 뒤 병실 밖으로 나와 비를 맞으며 호텔을 행해 발걸음을 옮긴다. 헤밍웨이는 프레더릭이 싸늘한 시체로 변한 캐서린에게 마지막 작별 인사를 하는 것을 마치 조각품에게 하는 것에 빗댔다. 그러나 프레더릭은 캐서린에게 이별을 고하고 난 뒤 다시 병원을 뒤로 한 채 빗속에서 호텔을 향해 걸어간다. 정지 상태에서 다시 동작 상태로 옮기는 것이다. 캐서린은 생리적 덫에 걸려 죽음을 맞이했지만 프레더릭은 언제나 조각품 같은 캐서린의 시체와 함께 머물 수만은 없다. 삶의 의미를 깊이 깨달은 그는 이제 삶을 충실히 살 준비가 되어 있다. 그리고 삶이라는 또 다른 전쟁터를 향해 지금 묵묵히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Article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