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

by 김종복(요셉) posted Oct 10,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

가을이 왔다. 높고 푸른 하늘에서, 산들산들 불어오는 바람에서, 그리고 시민들의 옷차림에서. 도심의 실개천에도 가을 옷을 갈아입은 갈대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 그렇게 익어가는 가을, 추석 명절의 긴 연휴가 시작되었다.

 

톨스토이의 단편소설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는 인간의 끝없는 욕심이 결국 어떤 비극을 초래하는지를 날카롭게 고발하는 작품이다. 주인공 파훔은 평범한 농부로, 처음에는 가족이 먹고살 만큼의 땅만을 원했지만, 점점 더 많은 땅을 소유하고 싶어 하는 욕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작중에서 그는 좋은 땅을 얻기 위해 마을을 떠나고, 결국 바시키르 족의 땅을 헐값에 얻을 기회를 잡는다.

 

바시키르 족은 특별한 거래 조건을 제시한다. 단 하루 동안, 해가 지기 전까지 자신이 걸어서 표시한 만큼의 땅을 줄 것이며, 단 해가 지기 전까지 돌아오지 못하면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파훔은 가능한 한 많은 땅을 얻기 위해 무리해서 먼 거리를 돌며 표시하지만, 해가 지기 직전에 겨우 출발점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과도한 욕심으로 인한 무리는 그의 생명을 앗아가고, 결국 그는 그 자리에서 죽는다. 소설의 마지막 문장인 사람에게 필요한 땅은 단지 그의 시신을 묻을 만큼의 크기일 뿐이다는 인간의 삶과 욕망에 대한 냉철한 통찰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톨스토이는 인간이 왜 끝없는 욕망에 휘둘리는지를 묻고 있다. 파훔은 처음부터 나쁜 사람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성실하고 근면했으며, 가족을 생각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조금 더 넓은 땅이 있다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단순한 생각이 점점 탐욕으로 변질되면서, 그는 결국 자기 파멸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끊임없이 더 나은 것을 추구한다. 더 좋은 직장, 더 큰 집, 더 많은 재산을 위해 살아간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잃고 있는가? 파훔처럼 건강을 잃고, 인간관계를 잃고, 결국 자신을 잃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소설은 그러한 삶의 방향에 대해 우리 스스로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톨스토이의 문체는 간결하면서도 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작중의 사건은 단순하지만, 그 안에 담긴 상징성과 풍자는 매우 깊다. 특히 파훔이 땅을 표시하며 점점 더 멀리 가는 장면은 인간의 욕심이 얼마나 끝이 없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이미 충분한 땅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만 더라는 생각에 걷고 또 걷는다. 그 끝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원하는 땅이 아니라, 죽음뿐이었다.

 

이 작품을 읽고 난 후, 나 자신에게 묻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가? 지금 내가 추구하는 목표는 정말로 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주는가? 아니면 단지 더 많은 것을 갖기 위한 욕심일 뿐인가? 이 질문에 솔직하게 대답해보려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나는 욕망이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나를 삼킬 수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새삼 얻었다.

 

결국, 톨스토이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에게 진정 필요한 것은 많은 것이 아니라 충분한 것임을 말하고 있다. 인간은 필요한 만큼만 가지면 된다. 오히려 너무 많은 것은 짐이 될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는 더 많은 것을 소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소박한 삶 속에서 진정한 행복과 의미를 찾기 위함이 아닐까?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는 단순한 우화를 넘어, 인간의 본성과 사회의 모습을 꿰뚫는 통찰이 담긴 작품이다. 짧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이 작품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꼭 한번 읽어봐야 할 가치가 있다. 그리고 그 메시지를 마음속에 새긴 채, 우리 삶의 방향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는 독서가 될 것이다.

 

톨스토이 단편 소설을 읽은 후, “나의 인생 후반전은 언제부터였는가? ”라고 자문자답했지요. 모두가 다르겠지만, 저는 지금까지의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결론은 나의 인생 후반부는 오늘, 지금 이 시간 이후라는 것을 새롭게 인식한 것이지요. 70대 중반이 지난 사람이, 지금 이 시간 이후부터가 인생 후반부라고 한다면 의아해 할 수도 있겠지만, 시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행동이 따르는 사고의 전환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누구든지, In put 없이 Out put 만 작동 한다면, 곧 과거의 경험으로 자신의 확신만 쏟아낸다면 그는 전형적인 꼰대의 틀에서 벗어날 수 없겠지요. 새로운 경험과 작은 도전을 통해 체득하는 것이 삶의 지혜이고, 그것을 공유할 수 있을 때 사유의 세계는 신선한 삶으로 이어지지 않을까요.

 

계절의 탓인지 묻득, 오래 전 보았던 두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마지막 장면을 기억하십니까? 노인이 된 라이언이 전우들의 묘지 앞에서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며 이내에게 묻습니다. “... 잘 산 것 같아?”. 국제시장에서 주인공 덕수는 평생을 고생하며 가족을 위해 살다가 늙어 아버지가 입던 옷을 껴안고 중얼거립니다. “아버지, 저 잘 살았지요? 그런데 억수로 힘들었어요. ...” 저에게 이 두 장면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은 모습으로 남았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마지막 순간, 자신의 삶의 돌아보며 자문자답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다 이루었다라고 하신 말씀과는 다르지만...


Articles

1